한국영화 <남과 북> 주제가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https://t1.daumcdn.net/cfile/blog/192377014CD496501F)
![](https://t1.daumcdn.net/cfile/blog/192377014CD4965120)
평화의 댐 "자유의 종"
![](https://t1.daumcdn.net/cfile/blog/202377014CD4965121)
평화의 댐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 영화 "남과북" 주제가 -
작사 : 한운사 / 곡 : 박춘석 / 노래 : 곽순옥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얌전한 몸매에 빛나는 눈 고운 마음씨는 달덩이같이 이 세상 끝까지 가겠노라고 나하고 강 가에서 맹세를 하던 이 여인을 누가 모르시나요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부드런 정열에 화사한 입 한번 마음주면 변함이 없어 꿈 따라 님 따라 가겠노라고 내 품에 안기어서 맹세를 하던 이 여인을 누가 모르시나요
![](https://t1.daumcdn.net/cfile/blog/163352214CD4C6810D)
![](https://t1.daumcdn.net/cfile/blog/173352214CD4C6810E)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 권성희 [곽순옥,1964]
![](https://t1.daumcdn.net/cfile/blog/182636244CD4E3E040)
故 한운사 (韓雲史) : 본명 (한간남)韓看南
(1923. 1. 15. 출생 ~ 2009. 8. 11. 작고)
충북 괴산에서 출생, 일본 중앙대학, 제국대학에서 수학, 서울대학교 문리대 불문
학과 중퇴, 1948년 중앙방송국에 방송극 「날아간 새」로 데뷰하여 한국일보 문
화부장, 방송문화연구원장, 방송작가협회이사장 역임. 방송작가로 활동하면서 방
송문화상, 대종상, 청룡상, 한국연극영화상 등 수상. 「빨간 마후라」,「현해탄은
알고 있다」,「남과 북」,「 하얀 까마귀」,「잘 돼갑니다」등이 있으며, 가요 ,
'빨간 마후라',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등을 작사해 작사가로도 활동하였다.
1966년부터 방송작가 이사장 5차례 역임, 2002년에는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의
방송인 명에인 전당에 헌정되었으며, 2006년에는 한국 최고의 영화인 35인 속에
스태프 분야 8인중 한 사람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생전에 드라마, 영화, 소설 등 100여편을 남기고 2009. 8. 11.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향년 86세.
출처 : 다음영화 및 네이버 백과
![](https://t1.daumcdn.net/cfile/blog/192636244CD4E3DD33)
영화 <남과 북>의 한 장면
- 6.25 전쟁으로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과 재회의 아픔을 그린 영화 -
천만 이산가족 찾기 방송
1983. 6. 30. 밤 10시 15분 KBS방송국은 휴전 30주년 기념 이산가족찾기 2시간짜리
특집방송으로 50여쌍의 이산가족을 찾아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천여명의 신청자
가 몰려오고 첫 상봉자 신영숙, 동숙자매를 찾으면서 수많은 이산가족들은 물론 일
반인들에게 대단한 호응과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동안 전쟁후 접어 두었던 가족의
상봉을 고대하던 이산가족들의 열화와 같은 상봉의 꿈을 갖게 하여 방송국 주변은
사람을 찾는 인파가 넘치고 건물 벽은 물론, 사람이 볼 수 있는 장소는 이산가족을
찾는 벽보로 도배를 하다시피 하였다.
당시 사회자 이지연씨를 비롯하여 많은 아나운서 등 방송인들은 하루 14 ~16시간
을 연 138일간 방송하여 약 10여만명의 신청인 가운데 1만 1백 80여명이 이산가족
재회의 기쁨을 찾게 되었다. 당시 허현철, 현옥 남매 등 30 여년간 헤어진 슬픔이
복받혀 통곡하는 모습은 많은 이 들의 감동과 눈물을 자아내게 하였다.
지금 북한과 이산가족 상봉은 남북관계의 사정에 따라 중단되거나 짧은 만남뒤의
긴 이별이 더욱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아무쪼록 이산가족 재회와 함께 살 수
있는 날이하루 빨리 돌아오길 바란다.
★ 그리고 20년후 2003년 허현철.현옥남매 취재. 다시보기를 하면 그 때의 감동을
다시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 아래주소 클릭 → 영상팝업▶ 클릭
http://news.kbs.co.kr/society/2003/06/30/455073.html#//
![](https://t1.daumcdn.net/cfile/blog/193352214CD4C68112)
1983년 흩어져 생사를 모르는 가족들을 찾기 위하여 KBS방송국 사옥 벽을 도배하다시피 붙인벽보. 사람들 !
![](https://t1.daumcdn.net/cfile/blog/113352214CD4C68213)
방청객에 앉아 자기소개 순서를 기다리는 이산가족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3352214CD4C68214)
이산가족찾기에 관한 신문보도
![](https://t1.daumcdn.net/cfile/blog/143352214CD4C68216)
이산가족찾기 기념우표
![](https://t1.daumcdn.net/cfile/blog/153352214CD4C68217)
![](https://t1.daumcdn.net/cfile/blog/163352214CD4C68218)
이산가족 상봉을 위하여 북으로 가는 버스행렬
![](https://t1.daumcdn.net/cfile/blog/183352214CD4C68319)
![](https://t1.daumcdn.net/cfile/blog/1650DC014CD4D68128)
오랜 이별뒤의 짧은 만남
![](https://t1.daumcdn.net/cfile/blog/1750DC014CD4D68129)
그리고 다시 기약없는 이별..
![](https://t1.daumcdn.net/cfile/blog/173352214CD4C6831B)
긴 기다림! 짧은 만남! 그리고 또 이별과 기다림..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136214CD4F5FC1D)
![](https://t1.daumcdn.net/cfile/blog/1950DC014CD4D67F1F)
1945. 9. 9. 조선 총독이 미군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항복문서에 서명하는 모습
![](https://t1.daumcdn.net/cfile/blog/1850DC014CD4D67F20)
1947. 5. 25. 개성인근 미군초소. 당시엔 철조망이 없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850DC014CD4D68021)
폭격과 기총소사로 집이 불타고 죽은 양민들의 전쟁 참상
![](https://t1.daumcdn.net/cfile/blog/1650DC014CD4D6812B)
북한군 공격지체를 위하여 폭파된 한강대교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0DC014CD4D68024)
국군의 최후 방어선인 낙동강 격전지 창녕 남지철교
![](https://t1.daumcdn.net/cfile/blog/1250DC014CD4D68025)
중공군의 개입으로 다시 꽁꽁 언 한강을 건너는 피난민 행렬
![](https://t1.daumcdn.net/cfile/blog/1350DC014CD4D68026)
피난의 와중에서도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어머니의 모정
위 글 중 전쟁 전.후 흑백사진은 퍼온 글 편집입니다.
원글보기 http://blog.joinsmsn.com/media/folderlistslide.asp?uid=gtkbest&folder=8&list_id=8178694
![](https://t1.daumcdn.net/cfile/blog/176C7C324CD5108203)
1950.12월 중공군의 엄청난 병역의 참전으로 미군, 육군등의 후퇴로 흥남부두에 철수하는
미 함대 수송선인 LST에 승선하려고 수많은 피난민이 자유를 찾아 영하 30 ~ 40도의
강추위에도 불구하고 흥남부두로 몰려드는 행렬의 끝이 없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86C7C324CD5108204)
당초 후퇴하는 미군철수를 위한 LST에 1만여명의 피난민이 배에 오르고 있다.
이로 인한 실향민과 이산가족이 많이 늘게 되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96C7C324CD5108205)
배가 출발하면서 부두에 모아진 수많은 군수물자를 적의 수중에
넘기지 않기 위하여 폭파하고 있는 광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1450DC014CD4D68027)
철책선 너머 두고 온 북녘땅 고향을 망연히 바라보고 있는 이산가족
![](https://t1.daumcdn.net/cfile/blog/196724574D28EC8F05)
비무장지대 철책선 너머 무심한 강물만 유유히 흐르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50DC014CD4D6822E)
민족의 한이 된 휴전선 비무장지대,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동물에게는 천국이 되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72896554D28ED4B24)
어미와 새끼가 함께 비무장지대에서 한가롭게 산책?하는 고라니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0DC014CD4D6822F)
비무장지대 고라니들이 사람을 빤이 바라보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2636244CD4E3DE39)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0DC014CD4D68330)
비무장지대 폭설에 먹을 것을 찾아 내려 온 산양들
![](https://t1.daumcdn.net/cfile/blog/122636244CD4E3DE35)
휴전선의 봄(민들레는 피어 씨앗은 북녘으로 날아가는데...)
![](https://t1.daumcdn.net/cfile/blog/132636244CD4E3DE36)
![](https://t1.daumcdn.net/cfile/blog/152636244CD4E3DE38)
비무장지대에 찾아 온 여름, 숲만 무성한데...
![](https://t1.daumcdn.net/cfile/blog/152636244CD4E3DF3A)
임진강 적벽에서 숭의전까지 6.1Km의 DMZ 평화누리길
![](https://t1.daumcdn.net/cfile/blog/162636244CD4E3DF3B)
![](https://t1.daumcdn.net/cfile/blog/172636244CD4E3DF3C)
분단의 비극을 보여주는 장단역의 철마
![](https://t1.daumcdn.net/cfile/blog/202636244CD4E3E141)
충북 괴산군에 지어진 <한운사 기념관> 건축가 : 한만원
이 노래를 섹소폰 등 연주로 감상하시려면 아래 동영상 클릭하세요.
![](http://i1.tvpot.daumcdn.net/svc/image/U03/tvpot_thumb/AUYlIVa7kkE$/thumb.jpg.edit)
![](http://i1.tvpot.daumcdn.net/svc/image/U03/tvpot_thumb/sscZM2C9QXo$/thumb.jpg.edit)
![](http://blog.joins.com/usr/d/h1/dh1218/0905/4a037d372723e.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