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미, 한국적인 미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요즘 꾸준히 한국의 미를 표현해 온 화가가 있다. 그의 작품에는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통찰력과 즐거움이 함께 녹아난다.
당신이 잠든사이, 162×100, 장지에 채색, 2006, 신선미
동양화를 선택한 계기는? 원래 서양화로 그림을 시작했었지만 어릴 때 본 동양화전시가 계속 잔상으로 남아있었어요. 예고 재학시절 자연스럽게 동양화를 접하게 됐고, 붓을 당기는 듯한 필력과 먹의 번짐 등 서양화와 전혀 다른 기법들을 새로 배우게 됐어요. 그러면서 그때의 기억이 살아나 동양화의 매력에 점점 빠져들게 되었지요.당신이 잠든사이2, 82×100, 장지에 채색, 2008, 신선미
주변의 작은 관심과 어릴 적 순수함을 잃지 말자는 이야기 구조예요. 그림 속에 나오는 작은 요정들의 등장은 구석구석 숨어 다니는 개미들의 삶을 의인화함으로써 어릴 적 착각이라 여기는 어른들의 무관심을 꾸짖고 되돌아보기 위함이죠. 우리가 보지 못하는 진실들을 수집하기 위해 개미의 삶과 우리의 삶을 끊임없이 관찰해야겠죠.
동양화 작가가 되기 위해 꼭 필요한 능력, 자질 등은 무엇인가요? 동서양화를 아울러 모든 작가에게는 각자 자신만의 철학이 필요하단 생각이 드네요. 단지 그림을 잘 그려서 인정받는 작가가 아닌 자신의 이야기를 남에게 들려주는 것처럼 공감을 형성하고 또 어떠한 파장으로 다가올지 기대하며 내가 살고 있는 시대의 흐름을 읽는 노력 또한 필요하답니다.
동양화 작가로 활동하면서
가장 뿌듯하고 힘든 부분은 무엇입니까?
주변 여러 선진국들, 예로 가까운 일본의 경우만 하더라도 자신의 문화를 소중이 여기면서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는데 반해 한국은 유독 서양문화만을 우월하게 생각하는 면이 많은 것 같아요. 이런 사실이 우리 것에 대한 자신감이 없는 것 같아 자존심도 많이 상하더군요. 요즘은 다행히 그러한 생각들이 조금씩 허물어지면서 우리가 타국 문화에 관심을 갖는 것처럼 오히려 서양에서도 동양화를 더 신비롭게 보고 선호한다는 사실을 여러 매체들을 통해 알게 되었어요. 이럴 때 세계미술시장에 한국화만의 신선한 충격으로 우리그림을 더 많이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되겠죠.
대학교 수업이 현재 작가 활동에 도움을 주는 부분은? 학교마다 수업방식에 차이가 있겠지만 막상 대학을 들어가니 입시미술의 연속이라 생각했던 기대와는 달리 추상의 기법으로 수업이 진행되면서 처음에 좀 혼란스러웠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전통과 현대의 기법이 어우러지는 방식을 조금씩 이해하면서 지금의 작업과 연결이 되더군요. 각자 자신만의 취향이 있겠지만 반드시 한 부분만 고집해선 안 된다는 것, 겪어본 만큼 자신의 그림도 성장한다는 것을 깨닫기까지 시간이 걸렸어요. 역시 배움에 길은 끝이 없겠죠.
동양화 작가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한마디 해주세요. 모든 미술분야든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동양화는 기본을 익히다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요. 추상이든 구상이든 기본은 항상 중요한 것이죠. 동양화는 인내의 연속이지만 하나를 뛰어넘었을 때의 쾌감은 겪어본 사람만이 알 수 있어요. 저 역시 그렇게 하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한답니다. 그림도 유행처럼 빠른 속도로 돌아가는데 꼭 다 따라갈 필요는 없어요. 방대하게 쏟아져 나오는 기법들 속에서 자신만의 색깔로 자리를 지키는 것 또한 현명한 방법이에요.,
※ Profile
신선미(申善美, Shin Sun-mi) 대학 : 울산대학교 동양화과 졸업, 2004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2006 -개 인 전 2008 ‘개미요정 세 번째 이야기’(한가람미술관, 예술의 전당) 2007 ‘개미요정 두 번째 이야기’ 기획초대전 (우림갤러리/창갤러리) 2007 '개미요정이야기'(한가람미술관, 예술의 전당) 2006 ‘그림 속 그림이야기’ 초대전 (갤러리 다, 서울) -아트페어
2009 화랑미술제(벡스코, 부산) 2009 스코프 뉴욕 아트페어 2008 현대아트페어(현대예술관, 울산) 2008 싱가폴아트페어(SUNTEC,싱가폴) 2008 KIAF(코엑스, 서울) 2008 SAF부산화랑미술제(벡스코, 부산) 2007 제1회 남송국제아트페어 특별전(남송미술관) -단체전
2009 페퍼로니 신드롬전(맥화랑, 부산) 2008 0809전(갤러리선컨템포러리, 서울) 2008 울산대 교강사교류전(갤러리H, 울산) 2008 Gallery SUN_ 3rd Show(네이쳐포엠, 서울) 2007 한일교류전(한국문화원갤러리, 일본)
'ArtGall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세기의 프랑스 시골 그림 (0) | 2015.12.26 |
---|---|
Andrew Loomis(1892-1959) / 감사의 마음 (0) | 2015.12.25 |
자크 루이 다비드(Jacques Louis David·1748~1825)| (0) | 2015.12.20 |
Lee Bogle / 인디안 처녀 (0) | 2015.12.18 |
팔레트 나이프로 완성한 화려하고 강렬한 풍경화 / 카렌 탈턴 (0) | 2015.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