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인물,문물

보기 힘든 자료

 

 


1) 보기 힘든 자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1952-01-21)


공산권·중립국가 휴전선 감시위원단

 탈퇴요구 시위(1955-08-13)


미스코리아 결선대회 출전자들의
수영복 심사광경(1957-05-14)


우량아 선발대회에서 입상한 아기들(1957-05-15 )


성형수술 장면(1957-08-27)


방문한 로마교황사절 환영 플래카드
(1959-03-09)


인기 영화배우 최은희씨(1959-08-19)


4.19혁명 희생자 49제(1960-06-05)


펄벅여사를 접견중인 윤보선 대통령 내외(1960-11-02)


김영복씨 귀국 의상 발표회(1960-12-18)

 
제2공화국 출범 경축식(1960-10-01)


경복궁서 군인위문공연(1961- 5-29)


수영복입은 박정희(61-09-11)


대학생 농촌문맹퇴치계몽 활동(1962-01-11 )


KBS의 전신인 서울방송국 위문단
제주도 위문공연(1962-03-24 )


화폐교환 및 극빈자 쌀 배급(1962-06-10 )


화폐교환하는 시민(1962-06-10)


영친왕 부인 이방자 여사 낙선재 입궁(1962-06-14 )


한산모시 직포 광경(1962-07-23)


대한항공사 취항식(1962-12-01 )


이화여자대학교 77주년 기념 5월의 여왕 대관식
(1963-05-31)


육영수 여사 사진(1963-07-27 )


제5대 대통령 취임식(1963-12-17 )


종로거리(1907)
칼을 찬 순경이 죄인을 감시하고 있고,
오른쪽 이발소 간판 밑에 가로등이 보인다.

명동성당(1905)
앞의 종탑은 명동성당이며, 뒤의 흰 3층건물은 샬트 수녀원이다.


옛 조선호텔 앞 거리(1900)
일본에 의해 황근우가 철거되고
그 자리에 조선호텔을 건축하기 전의 모습이다


소공동 중심가(1903)
당시 충무로와 소공동은 가장 번화한 거리이다.
중앙의 누각은 현 조선호텔에 남아있는 황궁우이다.


용산 나루터(1904)
이곳은 나룻배를 건조하던 장소로 유명하다.
줄무늬 상의를 입은 소년과 목판에 엿을 담은 어린
 엿장수가 엿을 팔고 있다.
소년의 옷차림이 당시 유행에 민감했음을 보여준다.


마포 나루터(1900)
왼쪽에 밤섬이 보이고, 이곳 마포 나루터는
화물 선착장으로 유명했다.


옛 진고개 (1904)
진고개는 현재 충무로 2가의 고갯길로서
흙이 몹시 질어 진고개라는 지명이 생겼다.
명동성당과 북악산이 보인다.
1906년 8척 가량 파내어 길을 닦고
높이 5척의 방주형 수멍을 묻었다.
이것이 서울시내 수멍도랑의 시초이다.

광화문 전경(1907)
당시 이거리는 도성에서 제일 넓은 거리였다.
왼쪽에는 통감부 통신관리국이 있고,
오른쪽 건물엔 일본관리인과 군부대가 있었다.


소공동 거리(1907)
소공동 주변에는 일본인이 경영하는 약방이 많았는데
일흥노약방 뒤로 원구단 누각이 보인다.


서대문밖 곡물창고
당시 이곳에는 곡물창고가 있었고 왼편의 건물은
전차수리소이다. 멀리 보이는산은 인왕산이다.


중학천(1907)
뒤의 누각은 경복궁 동십자각이며 백악산 밑에서
경복궁을 거쳐 청계천과 합류하였다.
하천 주변에 주민들은 이곳을 빨래터나
목욕터로 이용하였다
1928녈11

청계천(1904)
청계천은 서울 중심을 흐르는 하천이며
말그대로 물이 맑아 아낙네들의 빨래터로 이용되었다.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는 사진이다.


독립문 앞 전경(1931)
각종 채소들이 집산되어 시내로 유입된다.
이곳은 일본인들이 의주통이라 불렀다.

                    
 
거리enter></c
충무로 입구(1903)
충무로 입구에서 바라본 명동성당이다.
당시 충무로는 가장 번화한 거리였다
.
="
                   
서부역 부근(1907)
                   이곳은 저지대라 비가오면 진흙땅이 된다.
                  멀리보이는 건물은 약현성당이다

 

 

 

 

 

3.옛날 옛적 우리 모습

1910년대

첨부이미지

▲京仁線 기차(1910)

기차를 타보려 승객들이 객차에 오르느라 소란을 빚고 있다.

기차를 처음타본 승객들은 기차가 정지하기 전에

뛰어내려 사고가 많았다.

 

 

첨부이미지

소방대 발족(1920)

왼쪽 높은 망루에 서울시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고,

긴급을 알리는 종이 매달려 있다.

첨부이미지

▲기중기 도구(1900)

무거운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한 도구로

성벽을 쌓는 돌 운반 역시 이런 방식으로 작업을 했다.

첨부이미지

▲女人의 가리개(1900)

여인이 왕골로 짠 가리개를 쓰고 나들이하다가

양손으로 가리개를 받쳐 외면하고 있다.

첨부이미지

▲신행길(1890년)

방금 시집으로 가려는 가마를 잡고 친정어머니는

딸에게 무엇인가 자상하게 알려주고 있다.

첨부이미지

▲마을 장승(1900)

장승은 2개 세우는 법인데 마을 입구에 장승하나가 외로이

서있고 마을로 통과하는 전신주가 보인다.

첨부이미지

▲인천 일어학교(1894)

한국인 교사와 도포입은 학생, 중앙에 일본인 교사도 보인다.

첨부이미지

▲기생 소릿꾼(1900년)

지금의 歌手

첨부이미지

▲기생의 나들이 (1903년)

전속 가마꾼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첨부이미지

▲學童들의 야외학습(1904)

서당밖에 나와야외학습을 하고 있는 광경.

첨부이미지

▲연자매(1900)

연자매는 큰 맷돌을 소가 끌어돌리게 하는 精米시설이다.


첨부이미지

▲맷돌(1904)

콩이나 메밀등을 넣어 갈아주는수동식 믹서기다.

첨부이미지

▲돗자리 짜는 노인(1900)

돗자리 짜기란 많은고르랫돌을

매달아 한 가닥씩 엮어 나가는작업이다.



첨부이미지

▲기녀위문(1905)

露日戰爭 당시 기녀들이일본군 막사 앞에서 기념촬영

뒤쪽 천막에 일장기와 태극기가 그려져 있다.

첨부이미지

▲토담(土覃)쌓기(1905)

나무틀에 돌과 진흙을 혼합해서 쌓고,

사진촬영을 위해 잠시 휴식하고 있다.

첨부이미지

▲開化期의 卒業式(1904)

도포를 입고 갓을 쓴 두 훈장(선생님)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서있다 언더우드가 설립한 서당.

첨부이미지

▲한강여객선(1910)

첨부이미지

▲書堂풍경(1909)

훈장이 회초리를 들고 대청마루에서 붓글씨를 감독하고 있다.

첨부이미지

▲남대문 전차 대기소(1919)

서울에 전차가 들어오면서 단발령 시행에 실패한 일본은

전차회사 직원들에게 상투를 자르게 했다.

첨부이미지

▲女子弓道대회(1910)

첨부이미지

▲北間島 서당(1905)

어두운 방에서 플레쉬 없이 촬영한 것이 신기하고

모두 한결같이 눈을 크게 뜨고 있다.

첨부이미지

▲신랑 신부의 相面(1903)

신랑의 가족들이 호기심으로 신부를 보고 있으나
신부의 가족들은 근심이 가득하다.

첨부이미지

▲시집가는 신부(1903)

가마를 탄 신부가 신랑집으로 들어서고 있다

첨부이미지

▲서울의 전차(1903) 미국인 콜브란과 보스워크의한성전기회사에 의해

1898년 12월 전기궤도 부설공사가 완공되었다.

준공 직후 소아 사고로 전차를 불태운 사건이 있었지만 각지로 부터

전차를 타보기 위해 서울로 몰려왔다. 정원은 40명이고,

중앙에는 양반이 이용하던 특실이 있었다.

첨부이미지

▲널뛰기(1920) 한말 때 여자가 바깥구경을 할때에는

널을 뛰어 담장밖 세상을 구경했다

첨부이미지

▲장승(1903년)

장승은 마을 어귀에 세워놓고 수호신으로 삼았으며
동시에 이정표 역할을 했다. 또한 장승 앞에서 병의 치유를 빌던

풍습이 있었다. 장승이 7개 사람도 7명으로 각자 기원하고 있다.

간절한 소망과 소원을 얻기 위해선 굽어진 소나무로

된 것이 효험이 있다고 한다.

첨부이미지

▲구 한말 결혼식(1903)

떠구지머리를 얹고 큰머리를 튼 후, 떠구지 댕기를 드리우고

큰 비녀를 꽂은 다음, 원삼을 받쳐 입고 혼례를 올리고 있다.

이 부부는 자식을 낳은 후 미국 선교사에 의해 결혼식을 거행하고 있다.

마님 나들이(1907) 가마꾼이 마님을 태우고 포목점 거리를 지나고 있다

첨부이미지

▲다듬이질 하는 여인.

첨부이미지

▲마포 나루터(1910)

많은 새우젖 장수가 있고 상권이 모여있는 선착장 주변이다.
서울도성까지 얼마 안떨어져 항상 많은 물량이 거래되고 인천으로

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용산-인천 배삯은 상등은 2원 하등은

70전이며 증기선이 운항되었다.

첨부이미지

▲이화학당(1910)

이화학당을 설립한 '서클랜드부인'은 오른쪽에서 가사실습을

감독하고 있다. 앞줄에 신발이 잘 정돈되어 있는 것이 특색.

첨부이미지

▲키질과 체질(1890)

우리여인들의 생활은노동에 시달렸으며
곡식을 찧고 키로 까부리며 체질하여 밥과죽을 쑤었다.

첨부이미지

▲여학교 실습(1910)

대구동산언덕에 있는선교사 저택에서 실습

나온 신명여학생들이 소년들에게 주먹밥을 나눠주고 있다.

 

 

2) 100년 전의 우리생활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