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재난지원금 신용·체크카드로 신청 시작
어떻게 신청하고, 어디에서 쓰나

오늘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신용·체크카드 충전 신청이 시작된다.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등 9개 카드 홈페이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공인인증서 및 휴대전화, 카드 번호 인증 등의 방식으로 거쳐 신청할 수 있다.
신청은 공적 마스크 5부제와 같은 요일제를 적용한다. 출생연도 끝자리 1·6은 11일, 2·7은 12일, 3·8은 13일, 4·9는 14일, 5·0은 15일에 할 수 있다. 16일부터는 언제든 신청할 수 있다. 오프라인 신청은 오는 18일부터 카드사 연계 은행의 전국 창구에서 할 수 있다. 고령·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주민을 위해 지자체에서 해당 주민을 방문해 접수받는 ‘찾아가는 신청’도 18일부터 가능하다.
주민등록표상 세대주 본인이 신청해야 하며 세대주 본인 명의의 카드로, 신청 이틀 뒤 지급 받을 수 있다. 지원금은 1인 가구 40만원, 2인 가구 60만원, 3인 가구 80만원, 4인 이상 가구 100만원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자체 재난소득을 지급한 곳은 해당 지자체에 따라 수령액이 달라진다. 긴급재난지원금을 전액 수령하게 할 수도, 지자체 재난소득의 일부를 제외하고 수령하게 할 수도 있다. 긴급재난지원금이 전액 국비가 아니라 지자체가 일부 재원을 분담하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인데, 지자체 재난소득 대부분이 긴급재난지원금보다 먼저 지급된 바 있다.
긴급재난지원금은 3월 29일 기준 주민등록지 소재지의 광역 지자체 안에서 제한 업종을 제외하고 카드 결제가 가능한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제한 업종은 백화점, 면세점, 대형마트(기업형 슈퍼마켓), 대형 전자판매점, 온라인 전자상거래, 상품권·귀금속 등 환금성 물품을 살 수 있는 업종, 유흥업, 마사지 등 위생업, 골프 연습장 등 레저업, 사행산업, 불법사행산업 등이다. 조세, 공공요금, 보험료, 교통·통신비 등 카드 자동이체 등에도 사용할 수 없다.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받은 긴급재난지원금은 평소 카드를 쓸 때처럼 사용하면 된다. 가맹점에서 결제하면 자동으로 차감된다. 긴급재난지원금은 일부 지자체 재난소득과 달리 매출액 기준으로 사용 가능 업소를 제한하지 않는다. 편의점, 제과점 등 프랜차이즈 업소 대부분에서 사용 가능하다.
올해 8월 31일까지 모두 써야 한다. 그때까지 다 쓰지 못한 잔액은 소멸한다. 사용 금액과 현재 잔액은 카드사 문자메시지, 홈페이지, 고객센터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한 내 신청하지 않으면 자동 기부되며, 신청 절차를 밟아 지원금의 전액 또는 일부를 만원 단위로 선택 기부할 수도 있다.
긴급재난지원금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의학 논문 "말할 때 튀는 미세한 침방울, 8분 이상 떠 다닌다" (0) | 2020.05.16 |
---|---|
하루 2~3잔 '이것' 마시는 사람, 뱃살 더 적다 (0) | 2020.05.15 |
태반주사제, 동물실험에서 코로나 치료 효과 (0) | 2020.05.13 |
[Q&A] 오늘부터 재난지원금 신청 개시…이번주는 5부제 (0) | 2020.05.11 |
[사이언스카페] 천산갑이 코로나에 멀쩡한 까닭은? (0) | 2020.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