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미세 먼지 최악인데, 창문 닫을까? 환기할까?

미세 먼지 최악인데, 창문 닫을까? 환기할까?

  •  
  •  

입력 2021.03.29 10:36

​클립아트코리아

미세 먼지와 황사가 겹쳐 대기상태가 ‘매우 나쁨’ 수준인 상황이다. 외출을 삼가는 사람이 많은데, 실내라고 안전할까?

미세 먼지 예보현황을 수시로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다. 농도가 높을 때는 외부활동을 줄이고 실내에 머무르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미세 먼지는 문을 닫아도 창문과 문의 틈새 등으로 침투하기 때문에 실외 미세 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실내 농도도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실내에서 발생하는 여러 미세 먼지와 섞여 미세 먼지의 농도가 더욱 심해지기 때문에 실내공기도 안심할 수만은 없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오한진 교수는 “실제로 미세먼지와 달리 초미세먼지는 실내외를 불문하고 농도가 거의 비슷하다”며 “환기를 안 한다고 괜찮은 게 아니다”고 말했다.

외출 후 집에 들어오면 옷에 묻은 미세 먼지로 인해 실내 미세 먼지 농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귀가 후 옷을 털어야 한다. 베란다 또는 현관벽 등에 따로 보관해 곧바로 세탁해야 미세 먼지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실내 먼지 농도를 높일 수 있고 미세 먼지가 쉽게 쌓일 수 있는 카페트, 침구류, 인형 등 섬유재질로 돼 있는 실내 물건들은 수납장에 넣거나 덮개를 덮어두는 등 미리 정리해두는 것이 좋다. 집안 청소는 청소기보다 물걸레를 사용하되, 공기 중에 분무기로 물을 뿌려 미세 먼지를 바닥으로 가라앉힌 후 걸레질을 하면 효과적이다.

미세 먼지 주의보가 해제돼 공기 속 미세 먼지가 적은 날에는 실내 환기를 최대한 자주 해 유입된 미세먼지를 환기를 통해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리를 하면 냄새뿐 아니라 미세 먼지도 같이 만들어진다. 특히 고기를 굽거나 기름을 많이 쓰는 요리를 하면 우리 몸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함유된 기름 입자가 공중으로 떠 실내 미세 먼지 농도가 더욱 높아진다. 이런 요리는 되도록 자제하되 하더라도 반드시 환풍기나 후드 등 환기장치를 작동해야 하며, 창문을 열고 환기를 할 경우에는 3분 이내로 하고 환기 후에는 물걸레질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봄이면 차량을 이용한 가족단위의 나들이가 많아지는데, 차량 내부도 미세 먼지로부터 안전하지 않다. 에어컨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 운행 중 미세 먼지가 심한 경우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에어컨이나 히터를 내부순환모드로 작동시키는 것이 좋다. 오한진 교수는 “일반적으로 미세 먼지가 심한 날에 바깥 활동을 안 하기만 하면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내공기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야외활동을 하는 것보다 오히려 건강에 더 해로울 수 있으므로 집에서도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좋아요 1

초미세먼지 노출되면 ‘치매’ 증상 심해진다미세먼지 나쁨… 심장병 위험 높아지는 '고위험군'은?미세먼지 110일 만에 ‘나쁨’… 되짚어 보는 생활수칙미세먼지 피해 가려면 '안경'을 써라?미세먼지, 당뇨병 원인 될 수 있다고?미세먼지 때문에... '뇌' 쪼그라든다미세먼지, 코로나 사망 위험도 높인다… 독일 연구미세먼지 '나쁨' … 장시간 외출 피하고 이렇게 해 보세요미세먼지·오존 같은 대기오염 심하면 자살률 높아져임신중에는 대기오염 농도 체크하고 외출하라고혈압 원인이 대기오염 때문이라고?미세먼지 쯤이야? "골수까지 영향 미쳐 심장병 유발"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3/29/202103290108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