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어디에 있는가?
로마는 어떻게 천 년이 넘도록 제국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 여러 가지 요인 중에서 ‘타 민족에 대한 개방성’과 ‘지도층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를 먼저 꼽는다.
‘고귀하게 태어난 사람은 고귀하게 행동해야 한다.’라는 뜻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귀족들의 불문율이다. 즉 ‘귀족의 대우를 받고 싶으면, 귀족답게 행동하라’는 뜻이다.
로마의 귀족들은 사회적 의무를 실천하는 것에 무한한 긍지와 자부심을 갖는다. 로마는 카르타고와의 전쟁에서 17년 동안 집정관 25명 중 13명이 전사한다.
영국이 몇 백 년간 전쟁에서 패하지 않았던 이유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꼽는다. 세계대전을 포함한 이튼 스쿨 출신 전사자 5,000명은 한 학년 250명 정원의 20년 졸업생에 해당된다. 이들은 명예롭게 학교 교정에 묻혔으며 교정은 곧 무덤이나 다름없다. (특혜와 책임-송복)
6•25전쟁 때에는 미군 장성의 아들이 142명이나 참전해 35명이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입는다. 그 중에는 아이젠하워 미 대통령 아들과 8군 사령관 조지 워커 장군의 아들, 유엔군 총사령관 클라크 대장의 아들이 포함되어 있어 미국 상류층의 솔선수범을 실감할 수 있다.
모택동의 큰 아들 모안영(毛岸英)이 한국전에 참전하려고 할 때 중국인민군 총사령관 팽덕회는 그의 참전을 꺼려하여 모택동에게 말려 달라고 부탁한다. 모택동은 이에 대해 “그는 어쨌든 모택동의 아들이다. 내 아들이 가지 않으면 누구도 가지 않을 것”이라고 하며 참전을 반대하지 않는다.
결국 모안영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지 한 달 만인 1950년 11월 25일 평북 동창군 대유동에서 미군 전투기 폭격으로 사망한다.
1905년 1월 러일전쟁 당시, 일본 육군의 제3군 사령관 노기 마레스께(乃木希典) 대장은 6만 명에 가까운 전사자의 희생을 치르고 여순의 203고지를 함락한다. 전쟁이 끝난 후 전사장병의 가족들이 노기 장군에 대한 원망의 마음을 품고 그의 귀국을 기다린다.
하지만 여순 전투에서 전사한 자신의 두 아들의 관을 앞세우고 고개를 숙인 채 배에서 내린 노기에게 전사자 가족들은 아무 말도 하지 못하고 다같이 통곡을 한다.
황산벌전투에서 김유신은 손자 관창(김유신의 양자인 김품일의 아들)과 조카 반굴을 잃는다. 어린 관창의 죽음에 신라군은 분노하며 백제군에 총공격을 퍼부었고 결과는 신라군의 승리였다.
삼국을 통일한 후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패하고 돌아온 아들 원술을 김유신이 앞장서서 사형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화랑도의 정신인 임전무퇴를 어겼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지도층의 솔선수범이고 이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삼국을 통일하는 원동력이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알려진 ‘노블레스 오블리주’ 사례는 경주에서 12대에 걸쳐 300년 간 '깨끗한 富'를 쌓아온 최 부잣집을 이야기한다. 수많은 재산을 독립운동자금과 후학 양성 등 사회에 환원함으로써 그 고귀한 정신은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이 우러르는 귀감이 되고 있다.
'재산을 만석 이상 모으지 마라. 흉년에는 남의 논밭을 매입하지 마라. 사방 백 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최씨 가문 며느리들은 시집온 후 3년간 무명옷을 입어라. 진사 이상 벼슬은 하지 마라.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최 부잣집이 지켜온 6가지 원칙이다.
요즘 우리사회의 상층부 대부분은 ‘송 복’ 교수의 지적대로 ‘천민 상층’의 모습을 보임으로써 많은 아쉬움을 주고 있다. 고위층의 자녀 중 병역 면제자가 일반인의 5배라니 ‘금 수저, 흙 수저’ 얘기가 이상할 것이 없는 현실이다. 존경 받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모습을 어디서 볼 수 있을까?
“우리가 받은 선물이 엄청날수록 사회를 위해 값지게 써야 할 책임을 느낀다."
‘학식은 사회의 등불, 양심은 민족의 소금’ 2021. 10. 21 한국교육컨설팅 경영학박사 손원일
'문화,인물,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盧泰愚 전 대통령 별세 (0) | 2021.10.26 |
---|---|
1980년 5월 정국을 관장한 이희성 전 계엄사령관의 인터뷰! (0) | 2021.10.24 |
㊙️강신업 변호사, 정치평론가㊙️ (0) | 2021.10.24 |
국가(國家)는 어떻게 망(亡)하는가? (0) | 2021.10.23 |
전두환 대통력치적 (0) | 2021.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