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pic News

"불바다 만들겠다" 툭하면 위협…北야욕 무너뜨릴 한국형 방패

"불바다 만들겠다" 툭하면 위협…北야욕 무너뜨릴 한국형 방패 [이철재의 밀담]

이철재 기자 - 3시간 전
  •  
 

북한의 핵ㆍ미사일이 심상찮다. 북한은 1월 5일을 시작으로 올해 들어 미사일을 17번이나 쐈다. 그것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탄도미사일, 순항미사일, 극초음속미사일 등 다양한 종류를 발사했다. 전술핵을 개발하는 목적의 제7차 핵실험을 준비하려는 정황도 있다.

 
© 제공: 중앙일보북한이 1월 11일 시험발사한 극초음속미사일. 북한은 극초음속미사일로 한국형 미사일 방어망을 뚤으려고 하고 있다. 연합

북한이 1월 11일 시험발사한 극초음속미사일. 북한은 극초음속미사일로 한국형 미사일 방어망을 뚤으려고 하고 있다. 연합

 

한국을 핵ㆍ미사일로 옥죄려는 게 북한의 야욕이다.

 

정부는 지난 8일 “북핵을 머리에 이고 살아갈 수는 없다”며 “3축 체계를 중심으로 북한의 핵ㆍ미사일 위협을 실질적으로 무력화할 대책을 (윤석열 대통령) 임기 내에 강구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3축 체계는 ①북한이 핵ㆍ미사일을 발사하려 할 때 선제적으로 타격하는 킬체인(Kill Chain) ②북한의 미사일을 공중에서 요격하는 한국형 미사일 방어(KAMD) ③북한이 핵ㆍ미사일로 공격하면 한국이 보복하는 대량응징보복(KMPR)으로 짜였다.

 

KAMD는 3축 체계의 든든한 뒷배다. 킬체인이나 KMPR도 KAMD 위에서 힘을 얻는다. 그러나 빠른 속도의 미사일을 요격하는 건 정말 어렵다. 총알로 총알을 맞추는 수준의 기술이 들어간다.  

 

고난도의 KAMD 기술, 어디까지 개발했고 어떻게 발전할까. 지난 9~10일 제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국방과학연구소(ADD)와 KAIST가 공동으로 연 2022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KIMSTㆍ학회장 박종승) 종합학술대회에서 KAMD의 발전방향에 대해 알아봤다. KAMD의 핵심기술을 연구하는 ADD 미사일연구원이 발표한 ‘복합다층 미사일 방어체계 발전방향’이라는 특별세션에서다.

  

종합학술대회는 국내외 관련 기관 간 학술 교류의 장으론 국내 최대 규모다. 2000명 이상이 서귀포에 몰려 일대에서 택시 잡기가 힘들었을 정도다.

 
 

 

한국과 북한의 '창과 방패' 대결

 
 

창과 방패의 대결처럼 북한의 미사일과 한국의 미사일 방어는 치열하게 맞붙고 있다. 북한은 액체엔진과 탄도미사일에서 고체엔진과 순항미사일ㆍ극초음속미사일로 진화하고 있다.

 
© 제공: 중앙일보한화시스템이 공개한 레이저 대공무기 블럭-Ⅱ. 출력이 30㎾로 무인기를 격추할 수 있다. ADD는 레이저의 출력을 높여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레이저 대공무기의 전원으론 소형 원자로(SMR)을 제시하는 의견도 있다. 이철재

한화시스템이 공개한 레이저 대공무기 블럭-Ⅱ. 출력이 30㎾로 무인기를 격추할 수 있다. ADD는 레이저의 출력을 높여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레이저 대공무기의 전원으론 소형 원자로(SMR)을 제시하는 의견도 있다. 이철재

액체엔진 미사일은 발사 준비에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고체엔진 미사일은 바로 쏠 수 있다. 또 탄도미사일은 탄도를 그려 날아가는데, 순항미사일ㆍ극초음속미사일은 궤도를 예상하기 어렵다.  

게다가 북한은 탄도미사일에 탄착지점 앞에서 살짝 위로 솟구치다 다시 떨어지는 풀업(pull-up) 기동을 추가했다. 지난 5일 동시 다발로 여러 종류의 미사일을 섞어 쏘는 방법도 보여줬다. 모두 한국의 미사일 방어를 피하려는 수단들이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요격기회를 늘리는 다층방어 체계가 정답이다. 1단계에서 요격을 못 하더라도 다음 단계에서 잡을 기회가 있기 때문이다. 기회가 많으면 많을수록 요격 가능성은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