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rrent I

與 의총서 ‘비대위 체제’ 의견 모아… “비상상황에 동의”

與 의총서 ‘비대위 체제’ 의견 모아… “비상상황에 동의”

조만간 최고위 열어 전국위 공고
전국위에서 비대위 전환 여부 결정할듯

입력 2022.08.01 16:01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이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은 1일 긴급 의원총회에서 현 당 상황을 비상 상황으로 규정하고 당 지도체제를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양금희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가 끝난 뒤 “최고위원들의 사퇴로 당이 비상 상황인지에 대한 의원들의 의견을 모았다. 비상 상황이라고 하는 의견에 극소수 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당규 96조에 따르면 비상 상황일 때 비대위를 가동할 수 있다”며 “의원총회는 의견을 모으는 과정이고, 실제 비대위 발족과 관련된 의결은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에서 이뤄진다”고 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1일 “당이 비상 상황에 직면해 있다”면서 “이를 돌파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당헌당규 96조에 따르면 최고위 기능이 상실되는 등 당에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안정적인 당 운영 등을 위해 비대위를 둘 수 있게 돼 있다. 이날 의원총회엔 소속 의원 89명이 참석했으며 현재가 비상 상황이라는 해석에 반대 의견을 제시한 의원은 1명이었다고 양 원내대변인은 전했다. 유일한 반대 의사를 표한 의원은 김웅 의원이었다고 한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의총 모두발언에서 “당이 비상 상황에 직면해 있다”면서 “이를 돌파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상임 전국위 및 전국위 일정은 조만간 최고위 회의를 통해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양 대변인은 “(전국위 일정은) 최고위를 소집해 결정하고 이를 공고할 것”이라며 “그 다음에 전국위나 상임전국위를 열어 (비대위 전환 여부에 대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서병수 전국위원회 의장이 지난 4월 22일 국회에서 열린 제2차 전국위원회를 주재하는 모습. /뉴스1

그러나 전국위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비대위 전환’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인 적이 있어, 비대위 찬반 논란이 당분간 계속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서 의원의 입장이 바뀔지도 주목된다. 서 의원은 이날 오전 연합통신에서 “비대위로 전환하려면 합당한 명분과 당헌당규상 근거가 있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그런 것이 없다”라며 비대위 전환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서 의원은 “비대위로 가면 당헌당규상 해석상 여러 논란이 있을 수 있고, 제명되는 셈이나 마찬가지인 이준석 대표도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며 “그런 불씨를 안고 가는 것보다는 쉽고 순리적인 방안으로 하는 것이 맞다”고 했다.

당 일각에서는 비대위 전환과 함께 권 원내대표의 원내대표직 사퇴 요구도 제기됐지만 이날 의총에서는 이와 관련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원내대변인들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