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전국에 공수병 주의보

전국에 공수병 주의보

질병관리본부는 6일 전국에 공수병 주의보를 발령했다.

질병관리본부는 관계자는 “최근 광견병이 강원도 영동 지역까지 확산되고 있으므로 전국 각지에서 공수병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수병이란 광견병에 걸린 동물의 이빨이나 발톱에 의해 상처를 입었을 때 감염되는 인수공통 전염병. 감염 후 잠복기에 신속히 치료를 받으면 완치가 가능하나 치료가 늦어 발병하면 대부분 사망한다.

국내에서는 지난 93년부터 광견병이 다시 발생하기 시작해 2002년 78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최근 야생 너구리의 서식 환경이 변화하면서 발생 지역이 확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에는 모두 14건의 광견병 발생 사례가 보고됐으나 다행히 공수병은 지난 2005년부터 단 1건의 발생 사례도 보고된 바 없다.

질병관리본부는 공수병 예방과 관련, 위험 지역에서 야외 활동을 하거나 산간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야생동물, 가축, 애완동물에게 물리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할 것과 만약 동물에게 물렸을 경우 즉시 가까운 보건소에 신고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최근 한국 관광객이 많이 찾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도 주민 6명이 공수병으로 사망한 사실을 지적, 동남아시아 지역을 여행객들을 상대로 각종 동물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과 출국 전에 예방 백신을 맞을 것을 당부했다.

현재 질병관리본부가 ‘공수병 감염 위험지역’으로 지정한 곳은 서울 은평구, 경기도 가평군, 고양시, 김포시, 동두천시, 양주시, 양평군, 연천군, 파주시, 포천시, 강원도 고성군, 속초시, 양주군, 양양군, 인제군, 철원군, 춘천시, 화천군, 홍천군이다.


/ 연합뉴스

  • 2009.02.06 13:56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