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ience

아리랑3A호, 노르웨이 트롤 지상국과 첫 교신 성공


아리랑 3A호, 러시아서 발사..87분후 성패 확인 가능(2보)


발사관리단 "모든 발사과정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연합뉴스 | 입력 2015.03.26 07:17 | 수정 2015.03.26 07:26


 


 


발사관리단 "모든 발사과정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야스니<러시아>=연합뉴스) 공동취재단 = 우리나라의 주·야간 전천후 지구관측 시대를 열어줄 다목적실용위성 3A호(아리랑 3A호)가 26일 오전 7시 8분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드네프루 발사체에 실려 발사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조광래, 이하 항우연)은 아리랑 3A호의 모든 발사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돼 예정된 시간에 발사됐다고 밝혔다.

아리랑 3A호는 발사 893초 후 537㎞ 상공에서 발사체에서 분리되고 발사 32분 후 남극 트롤(Troll) 지상국에 첫 원격자료를 보낼 예정이다.



↑ 지난 2013년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다목적실용위성5호(아리랑5호)가 발사체 '드네프루'에 실려 발사되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 국내 공공위성으로는 처음으로 민간기업이 주도해 개발한 다목적 실용위성 3A호(아리랑 3A호).


 


 


발사 성패에 대한 1차 판단은 발사 87분 후로 예정된 노르웨이 스발바르 지상국과의 교신에서 태양전지판이 성공적으로 전개됐는지를 확인하면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전 항우연 지상관제센터와의 첫 교신은 발사 5시간 56분 후인 오후 1시 5분께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때 다운링크 안테나(관측자료를 지상국에 내려 보내는 안테나)가 정상적으로 펼쳐져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최석원 사업단장은 "태양전지판이 성공적으로 작동했다는 것이 확인되면 사실상 성공으로 봐도 무방하다"며 "오후 1시 5분께 대전 지상관제센터와 첫 교신이 성공하면 아리랑3호 발사는 최종적으로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발사용역을 맡은 코스모트라스사 측은 발사 2시간 반 뒤 위성 분리 당시의 궤도 정보를 항우연에 제공할 계획이며 항우연은 이를 이용해 초기 분리궤도와 최종 운영기준궤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할 예정이다.

537㎞ 상공에서 발사체에서 분리된 아리랑 3A호는 3주간 진행되는 초기구동 점검 기간에 궤도를 운영기준궤도인 528㎞로 낮추게 된다.

기상 상황에 관계없이 지구관측을 수행하기 위해 항우연이 2006년부터 8년간 2천373억원을 투입해 개발한 실용급 위성인 아리랑 3A호는 국내 최초의 적외선 관측 센서 및 국내 최고 해상도 광학렌즈를 탑재하고 있다.

해상도 5.5m급의 고성능 적외선 센서와 0.55m급의 국내 최고 해상도 광학렌즈를 통해 도시 열섬현상 등 기후변화 분석, 재해재난ㆍ국토ㆍ자원ㆍ환경 감시 등에 활용될 고품질 위성영상을 하루 24시간 전천후로 공급하게 된다.

아리랑 3A호는 크기가 직경 2m, 높이 3.8m, 폭 6.3m, 중량이 1.1t이며 발사 후 4년간 528km 상공을 돌면서 지구관측 임무를 수행한다. 하루 지구를 15바퀴 돌면서 주·야간 두차례 한반도 상공을 지나며 광학렌즈로는 10분간, 적외선센서로는 2분간 한반도를 촬영할 수 있다.

scitech@yna.co.kr


 


아리랑3A호, 노르웨이 트롤 지상국과 첫 교신 성공


YTN | 입력 2015.03.26 07:49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3A호가 노르웨이의 트롤 지상국 첫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위성이 정상적으로 제 궤도를 통과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아리랑3A호는 오늘 오전 7시 8분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발사됐고 23분에 위성이 분리돼 궤도에 진입했습니다.

아리랑 3A호는 오늘 오후 1시 5분 한반도 상공에 도달하는데 이 때 대전 지상국이 위성과 교신을 시도해 최종 성공 여부를 확인하게 됩니다.


 


 


 


[아리랑 3A 발사 성공]지구관측 능력 '세계 정상급' 각인


전자신문 | 입력 2015.03.26 09:53 | 수정 2015.03.26 10:19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시리즈는 지구관측에 초점이 맞춰진 실용급 위성이다. 지구관측 능력에서는 세계 어느 우주 선진국에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아리랑'위성은 우주기술 변국이던 우리나라가 처음 '상용위성'의 시대를 열었다는 의미가 있다. '아리랑'은 1999년 처음 발사됐다. 진화를 거치며 현재는 세계 정상급의 막강한 지구관측 능력을 보유하게 됐다.

우리나라는 현재 다목적실용위성 2호, 3호, 5호를 지구 저궤도에서 운영 중이다. 26일 3호와 쌍둥이 격인 3A호가 지구관측 방법에서는 '화룡점정'인 셈이다.



처음 쏜 아리랑 1호는 해상도가 6.6m급이었다. 도로나 건물정도를 구분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아리랑 2호에 이르러서는 무려 40배 향상된 1m급으로 개선됐다. 도로 위 차량이 세단인지 트럭인지를 구별할 수 있을 정도다.

2012년 발사한 아리랑 3호는 해상도 70㎝급 광학카메라를 탑재했다. 아리랑 2호에 비해 약 2배의 성능이 개선됐다. 해상도 70㎝는 도로 위의 물체를 상세히 판별할 수 있다.

더 중요한 건 각 위성이 갖는 탑재체 카메라다. 어떤 방법으로 촬영하느냐는 것이다.

2013년 발사한 '아리랑 5호'는 구름이 있거나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한 전천후 관측 합성개구영상레이더(SAR)를 탑재했다.

2호와 3호에 탑재된 광학카메라는 사람 눈이 보는 것과 같은 가시광선 대역을 관측한다. 야간이나 구름이 있을 경우 지구 관측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레이더 위성은 레이더전파를 발사한 후 되돌아오는 것으로 영상정보를 만들기 때문에 야간관측이 가능하다.

3A호는 국내 최고 해상도의 광학관측 위성이자 국내 첫 적외선 관측 위성이다. 3A호 광학탑재체 해상도는 55㎝ 급으로 3호에 비해 다시 두 배 가량 성능 개선이 이뤄졌다.

세계 상업용 위성영상판매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의 지오아이-I 위성(41㎝급), 프랑스의 Pleiades 위성(50㎝급) 등과 비교해도 실용 측면서 뒤지지 않는다.

3A호 탑재체에는 적외선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가 탑재돼 있다. 이 센서는 사람이 볼 수 없는 3.3∼5.2㎚ 적외선 대역을 탐지할 수 있다. 야간 관측이나, 화재, 화산활동, 열섬 현상과 같은 고온 현상 관측에 쓸 수 있다.

적외선 센서 제작은 삼성탈레스가 주관했다. 적외선검출기 등 일부 구성품은 해외 기술협력을 통해 개발했다.

센서가 들어있는 3A 카메라 명칭은 '에이스-A'(AEISS- Advanced Earth Imaging Sensor System_Advanced)다.

'에이스-A'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탑재체 분야 연구원 25명이 투입돼 4년간 개발했다. '에이스-A'는 아리랑 3호에 탑재된 '에이스' 구조에 광전자부를 개선했다. 광학 해상도를 높이고 적외선 센서를 추가 탑재한 '에이스' 자매모델이다.

'에이스'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위성탑재체 설계, 조립, 시험 등 개발의 모든 단계를 국내에서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에이스-A'는 '에이스'에서 한발 더 나아간 위성탑재체다.

'에이스'와 같은 고성능 위성 카메라 개발에는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부품단계에서부터 고도의 성능시험을 거친 후 미리 설계 단계부터 맞추게 된다. 따로 개발한 초정밀 치공구들과 특수한 장비들을 사용해 조립 한다.

조립작업 후반에는 기계와 컴퓨터가 할 수 없는 경지를 전문가의 손과 머리로 마무리한다. 그만큼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노하우가 필요한 작업이다.

'에이스-A'는 '에이스'와 같은 광학계를 가졌지만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위성 고도를 685㎞에서 528㎞로 약간 낮췄다. 간단해 보이지만 기술적인 어려움을 많이 해결해야하는 노하우가 필요하다. 위성 고도가 낮을수록 카메라 노출시간이 짧고 수집되는 빛 에너지가 작은 데다 전자 신호 처리 시간이 짧아진다. 불필요한 잡음신호와 전자적 간섭도 많아지기 때문에 쉬운 작업이 아니다.

3A호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위성 관측에서 고해상도 광학, 레이더, 적외선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기상 조건이나 주야간 상황에 관계없이 관측이 가능하다. 세밀하고 다양화된 정보 획득도 할 수 있다.

최성봉 항우연 위성연구본부장은 "각기 다른 특성의 탑재체로 같은 지역 영상을 얻어 이를 융합·분석하면 기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3A호 발사로 저궤도에서 운용하는 위성 수 증가에 따라 한반도 관측 주기가 짧아진 다는 것도 의미가 있다.

국가 재난·재해와 같은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보다 신속하게 위성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를 촬영할 수 있는 관측주기는 2013년 하루 0.75회(아리랑2호)였다. 2014년부터 2호와 5호, 3호가 가세하며 하루 3.5회로 늘었다. 이번 3A호 발사로 하루 2회 관측이 추가(낮에는 광학, 밤에는 적외선)되면서 하루 관측주기가 5.5회로 급증했다.

지금까지 국내 각 위성별 얻은 영상 수는 공공·민간 영역에 서비스된 영상 기준으로 아리랑 1호 11만5354장, 아리랑 2호 247만 7943장, 아리랑 3호 36만 6071장, 아리랑 5호 2만 4750장이다.

야스니(러시아)=박희범 기자 hbpark@etnews.co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플랫폼 A : 위성체가 탑재된 로켓 3단, GDS(Gas Dynamic Shield) : 위성 보호 덮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위성) / 정지궤도위성

정지궤도 민간위성(통신·방송위성)

* SK텔레콤이 일본과 공동 참여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용 위성으로 1,010억원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