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lfgang Amadeus Mozart
Serenade NO. 6 D장조 '세레나데 노투르나', K.239
Serenade NO. 9 D장조 '포스트 호른', K.320
Serenade NO.13 G장조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K.525
Willi Boskovsky. cond / Wiener Mozart Ensemble
모차르트. 세레나데 제9번 D장조 '포스트 호른', K.320
위에 첫 번째로 플레이 시킨 이 곡의 제6악장인 제2미뉴에트 악장의 제2트리오에 역마차에서 사용되던 포스트 호른(코르네 드 포스트, 코체 혼)- 우측 사진이 씌여진 것으로 인해 이 곡은 '포스트 호른 세레나데'라고 불려진다.
삶에서나 예술에 있어 많은 체험을 하게 해준 만하임-파리 여행에서 고향에 돌아온 모차르트는 자신의 주인이자 군주인 대주교에 대해 큰 불만을 품고 있었지만, 1779년 초부터 2년반 후의 여름까지 대주교의 궁정에서 음악가로 일하게 되었다. 1779년 8월에 완성된 이 곡은 3곡의 교향곡, 두대를 위한 피아노 협주곡, 신포니아 콘체르탄테등 많은 명작들과 함께 그가 여행중 얻은 음악적 체험을 바탕으로 풍성한 결실을 맺은 시기이기도 하다.
7악장으로 이루어진 이 곡은 아마 어떤 축제를 위해 씌여진 것으로 보이지만 용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유명한 모차르트 전기를 썻던 프랕츠 니메츠크는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출판사에 보낸 편지(1779년 5월)에 이 곡이 대주교의 영명축일을 위해 썻으며, '축하 교향곡'이라고도 하지만, 히에로니무스 콜로레도의 영명축일이 9월 30일인 것과 이 곡이 작곡된 날(1799년 8월 3일)을 보면 반드시 확실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잘츠부르크 대학 학생들의 교과 과정 종료를 축하하기 위한 소위 '피날레무지크'로 여겨지며 '역마차용 포스트 호른'은 학생들의 떠나느 모습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에는 파리-만하임 여행에서 받은 영향이 풍부하게 반영되며 그의 젊은 개성에 의해 탁월하게 소화되어 같은 시기의 교향곡이나 유명한 신포니아 콘체르탄테에 뒤지지않는 높은 가치를 지닌다. 첫 악장이나 피날레, 안단티노등의 파리에서 얻었던 인상을 강하게 풍기며 악기법에서도 그 유명한 만하임 오켓트라의 분위기가 묻어 나온다.
7악장으로 이루어진 이 곡은 아마 어떤 축제를 위해 씌여진 것으로 보이지만 용도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유명한 모차르트 전기를 썻던 프랕츠 니메츠크는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출판사에 보낸 편지(1779년 5월)에 이 곡이 대주교의 영명축일을 위해 썻으며, '축하 교향곡'이라고도 하지만, 히에로니무스 콜로레도의 영명축일이 9월 30일인 것과 이 곡이 작곡된 날(1799년 8월 3일)을 보면 반드시 확실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잘츠부르크 대학 학생들의 교과 과정 종료를 축하하기 위한 소위 '피날레무지크'로 여겨지며 '역마차용 포스트 호른'은 학생들의 떠나느 모습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에는 파리-만하임 여행에서 받은 영향이 풍부하게 반영되며 그의 젊은 개성에 의해 탁월하게 소화되어 같은 시기의 교향곡이나 유명한 신포니아 콘체르탄테에 뒤지지않는 높은 가치를 지닌다. 첫 악장이나 피날레, 안단티노등의 파리에서 얻었던 인상을 강하게 풍기며 악기법에서도 그 유명한 만하임 오켓트라의 분위기가 묻어 나온다.
모차르트. 세레나데 제6번 D장조, K.239 '세레나데 노투르나'
1776년은 기회음악의 해라고 할 정도로 세레나네,디베르티멘토가 많이 나온다. 이 시기에 모차르트는 잘츠부르크에서 궁정 음악가로서의 일을 계속하는 한편, 교향곡이나 소나타와 같은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서 깊이를 요하는 작품을 멀리한 채 사교적, 오락적인 음악을 열심히 작곡한다. 이들 작품은 우아하고 화려한 색체가 강하며 갈란트 양식을 보여준다. 그런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 이 [세레나데 노투르나]와 반년 후에 작곡된 대작 [하프너 세레나데]라고 할 수 있다.
[세레나데 노투르나]라는 명칭은 아버지 레오폴드가 자필악보에 적어 녛은것이지만 어떤 기회에 무슨 목적으로 작곡되었는지는 확실치않다. 이 작품은 다른 세레나데에서 볼 수 없는 내용을 지니고 있다. 이 곡을 연주하려면 두 그룹 이상의 앙상블이 필요하다. 바로크 시대의 합주 협주곡을 연상하게 하는 독주그룹(콘체르티노)과 합주 그룹(리피에노)의 기능이 주어져 있다. 아울러 3개의 악장밖에 없으며 관악기가 생략되어 있는 점도 다른 세레나데와는 구별된다.
자필악보에 의하면 1776년 1월에 작곡되었고, 초연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파움가프트너는 1776년의 새해 맞이 기념 연주를 위해 작곡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그럴 경우 작곡은 그 전해 12월까지 완성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모차르트가 자필악보에 적어 넣은것과 작곡날짜가 어긋난다.
모차르트. 세레나데 제13번 G장조, K.239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모차르트의 세레나데 가운데 특히 인기있는 작품이다. 1787년 8월 10일 때마침 오페라 [돈지오반니, K.527]의 제2막 작곡에 매달려 있을 동안 완성되었다. 아베르트도 지적했듯이 이 곡은 축하음악적인 화려함을 지니고 있으며, 아마도 다른 세레나데와 같이 어떤 행사나 축하를 위해 작곡된것이지만 확실히 알려진 것은 없다.
일반적으로 친숙한 제목인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는 모차르트가 자작품 목록에 기록한데서 유래한다. 이것은 '작은 밤의 음악(소야곡), 즉 '작은 세레나데'와 같은 의미의 독일어이다. 이 곡은 실제로도 확실히 세레나데이며, 모차르트의 사후 출판된 초판에서는 이 독일어 표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레나데'라고 적고 있다.
악장구성도 오늘날에는 교향곡적인 4악장을 취하고 있으나, 모차르트의 작품목록에는 '알레그로, 미뉴에트와 트리오, 로만체. 미뉴에트와 트리오, 피날레로 이루어진다.' 라고 적혀 있는 사실에서, 작곡 당시는 알레그로와 로만체 사이에 또 다른 미뉴에트와 트리오를 두어 세레나데의 원칙대로 5악장 구성을 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거기다 모차르트 자신이 자필악보에 붙인 페이지 번호를 보면 자필악보는 본래는 8페이지였으나 그 후 제3페이지가 분실되어 아마도 이 잃어버린 부분에 또 하나의 미뉴에트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부분은 발견되지 않고 있으므로 우연히 소실된것인지, 아니면 누군가가 일부러 빼버린것인지는 알기 어렵다.
아름다운 클래식 모음 / 모짜르트 / 바이올린 협주곡 外♪..
아름다운 클래식 모음 / 모짜르트 / 바이올린 협주곡 外♪................
'Classic I'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ethoven Symphony No.3 /카라안.베를린 (0) | 2016.06.15 |
---|---|
베르디//운명의 힘(La Forza del Destino) 서곡 - 로린 마젤(Cond) (0) | 2016.06.14 |
.F. Handel (1685 - 1759) Giulio Cesare in Egitto (Act 3) `Piangero la sorte mia` `내 운명을 슬퍼하지 않으리` (0) | 2016.06.13 |
북스테후데 / 토카타 F 장조 BuxWV156 (Dietrich Buxtehude / Toccata in F major, BuxWV156)| (0) | 2016.06.13 |
Suppe - Overtures (0) | 2016.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