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허벅지 "가늘게" vs "굵게"… 한국·미국 선호 달라

허벅지 "가늘게" vs "굵게"… 한국·미국 선호 달라

    • .

입력 2020.07.31 11:25

서양인들이 추구하는 허벅지는 굵고 허리는 개미처럼 가는 몸매를 강조하는 미국 유명 연예인 킴카다시안./사진=킴카다시안 인스타그램 캡처

아무리 노력해도 살이 빠지지 않는 사람은 '지방흡입' 수술이나 시술을 고려할 수 있다. 지방흡입은 최근 들어 단순히 날씬해지는 시술을 넘어 체형 디자인을 위해 쓰이기도 한다. 그런데 한국과 미국의 지방흡입 트렌드에 확연한 차이가 있다고 한다. 글로벌365mc인천병원 안재현 대표병원장의 도움말로 지방흡입 글로벌 트렌드에 대해 알아본다.

아시아, 가장 선호하는 것은 ‘가느다란 허벅지’
지방흡입은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수술법으로 이뤄진다. 단, 이 수술이 ‘어느 부위’에 적용하느냐는 해당 국가의 이상적인 몸에 대한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한국·일본·중국 등 아시아국가는 ‘가능한 여리여리하게’를 지향한다. 안재현 대표병원장은 “한국인은 작고 날씬한 체형을 유지하되 밋밋한 라인이 아닌 굴곡을 더한 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10년 전만 해도 체중계 숫자만 적게 나가면 예쁜 몸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요즘에는 여기에 굴곡까지 더해야 하다 보니 몸매관리가 더 까다로워진 상황이다. 안 대표병원장은 “다이어트로 체구를 작게 만들 수는 있지만, 허벅지나 팔뚝 등 특정 부위의 사이즈는 내 마음대로 줄이기 힘들다”며 “이는 대체로 유전적 성질을 타고 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럴 경우 지방흡입이 몸매를 다시 예쁘게 다듬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한편 안재현 대표병원장은 "아시아 여성은 허벅지 지방흡입을 가장 선호하는데, 인종적 특성 탓이 크다"며 "아시아 여성은 백인·흑인 여성에 비해 허리는 날씬하지만 아랫배부터 허벅지까지 발달한 체형을 가진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허벅지 부피는 크지만, 라인은 굴곡 없이 밋밋해 고민하는 것이다. 안 대표병원장은 "그래서 한국인 20~30대 젊은 여성은 허벅지 지방흡입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동양 여성은 가느다란 허벅지를, 서양 여성은 두꺼운 허벅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여성, 허벅지는 굵고 허리는 개미처럼 가늘기 원해
미국은 세계 최대 지방흡입 강국이다. 현재도 1년에 약 26만명이 지방흡입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단, 미국의 지방흡입 트렌드는 한국과 대조적이다. 미국에서는 3년 전부터 허벅지는 굵고, 허리는 개미처럼 가느다랗게 만드는 ‘BBL(Brazilian butt lift)’이 대세다. 과장된 여성의 굴곡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아시아인이 선호하는 작은 엉덩이, 가느다란 허벅지는 ‘콤플렉스’로 여겨질 정도다. BBL은 지방흡입에 지방이식 과정을 더한 게 포인트다. 등·복부에서 지방을 최대한 흡입한 뒤, 이를 엉덩이와 골반에 다시 주입한다. 엉덩이 볼륨을 눈에 띄게 키우기 위해 상체의 지방을 대용량으로 흡입해야 볼륨을 키울 수 있다. 단, 허리라인은 이와 대조되도록 가늘게 만들어야 한다. 인스타그램 등 SNS에는 미국의 성형외과 의사들이 자신의 술기를 뽐내는 BBL 시술 전후와 과정을 쉽게 볼 수 있다. 한화로 약 1500만원의 비용이 든다.

똑같은 수술도 아시아인·흑인보다 백인 회복 더 빨라
아시아인, 흑인, 백인이 같은 날 같은 부위에 동일한 양의 지방을 흡입했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회복이 가장 빠른 인종은 높은 확률을 ‘백인’이라는 게 안 대표원장의 설명이다. 유전적으로 타고난 살성 덕분이다. 살성이란 살갗의 성질과 탄성을 의미한다. 살성에 따라 상처가 빨리 아물고 흉이 사라지는 데 흑인이 가장 좋고, 그다음으로 동양인, 백인 순으로 살성이 좋다. 아시아인이나 흑인은 피부조직이 치밀한 편이고, 살성이 가장 좋은 흑인은 켈로이드에도 취약한 편이다. 반대로 백인은 살성이 나빠 피부의 힘이 떨어지는 편인데, 이같은 성질은 지방흡입이나 미용성형에는 유리하다. 지방흡입 시 동양인이나 흑인의 경우 조직이 치밀한 편이라 수술이 까다롭다. 지방세포에는 섬유질이 많고, 피부와 타이트하게 붙어있기 때문이다. 수술을 받은 환자가 수술 후 조직손상의 흔적을 쉽게 느낀다. 피부가 강하게 땅겨지는 느낌 등도 포함된다. 반면 백인은 이런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피부와 지방조직이 유착된 힘이 애초에 크지 않아 지방세포를 흡입한 뒤 상대적으로 회복이 빠른 편이다.

 

좋아요 3

이산가족 MC 유철종…건강 비결은 ‘스쿼트’힘의 원천은 '하체 근육'… 허벅지·종아리 간단 단련법팔 힘줄, 허벅지 근육 강화하는 '간단' 재활운동법허벅지 근육만큼 중요한 '작은 근육'… 잘 키워야 오래 산다'오다리'라면 발 모아 스쿼트, 근력 부족하면 넓게 벌려야노인에게 필요한 '백근' 단련법… 스쿼트가 제격스쿼트·윗몸일으키기, 탄력은 높이지만 체지방 감소 효과 미미근력 운동, 힘 줄 때 '날숨' 쉬어야 하는 까닭순발력의 원천 '백근', 스쿼트로 키우세요젊고 건강한 몸 유지하려면 '백근' 중요…백근이 무엇이길래외발 스쿼트, 하체 관절 조절 능력 키워[카드뉴스] 드넓은 어깨, 탄탄한 허벅지, 쉽고 즐겁게 완성하자!와이드 스쿼트 효과… 엉덩이·허벅지 동시에 단련돼노인에게 필요한 '백근(白筋)' 어떻게 단련하나?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31/202007310172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