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pic News

전경련 “한국 원자력 경쟁력, 탈원전 이전 65% 수준… 복구에 4년 걸릴 듯”

전경련 “한국 원자력 경쟁력, 탈원전 이전 65% 수준…

복구에 4년 걸릴 듯”

입력 2022.07.25 15:16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3·4호기 건설현장의 모습. /조선일보DB

현재 국내 원자력 산업의 경쟁력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시행 이전 대비 65% 수준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주요 31개 원자력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5곳 중 1곳(19.4%)은 탈원전 이전에 비해 원전산업의 경쟁력이 50% 이상 떨어졌다고 답했다. 절반 이상(51.6%)은 30~40% 하락했다고 응답했고, 20~30% 하락(22.6%), 10~20% 하락(6.5%)했다는 기업도 적지 않았다.

기업들은 기존 원전 생태계가 복구되는 데까지 약 3.9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절반 이상의 기업(51.6%)이 2~4년이 걸릴 것이라고 답했고, 4년 이상 6년 미만(38.7%), 6년 이상 8년 미만(6.5%) 순이었다.

원전 업계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전문 인력 부족’(37.5%)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실제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2021년 원자력 관련 학과 재학생 수는 2165명으로 2017년(2777명) 대비 22% 감소했다. 이어 ‘운영 자금 부족’(30.4%), ‘협력업체 사업 포기로 인한 공급망 악화’(17.9%), ‘차세대 기술 확보 수준 미흡’(12.5%) 등이 꼽혔다.

 

원전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조속한 일감 공급’(46.9%)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원전 업계 관계자는 “현재 신한울 3, 4호기 건설 재개가 확정됐지만, 실제 수주를 통해 그 효과가 퍼지기까지는 2~3년이 걸린다”며 “환경영향평가 절차 간소화를 통해 공사 재개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이 외에도 ‘원전 착공 관련 인·허가 규제 개선’(28.1%), ‘금융 부담 완화’(17.2%), ‘한계 기업 지원’(7.8%)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작년 12월 29일 윤석열 당시 대통령 후보가 경북 울진군 신한울원자력 발전소 3, 4호기 부지에서 원전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뉴스1

배상근 전경련 전무는 “지난 7월 유럽연합(EU)의 택소노미(녹색분류체계)에서 원전이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되면서 해외 수출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원전 생태계를 조속히 회복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