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인구 붕괴, 작년부터 시작했다
작년 대한민국 총인구가 1949년 이후 처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11월 1일 기준 총 인구는 5173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9만1000명(0.2%) 줄었다. 총 인구가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 관련 집계가 시작된 이후 72년 만이다.
인구 성장률은 1960년 3.0%로 정점을 찍고 내리 하락했다. 1995년부터는 1%대 미만으로 떨어졌지만, 꾸준히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세종(3.5%)·경기(1.0%)·인천(0.4%)·제주(0.3%)·강원(0.0%) 등 5개 시·도를 제외한 나머지 12개 시·도에서 모두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870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41만9000명(5.1%) 증가했다. 고령인구 비율은 16.8%였다. 유엔 기준에 따라 65세 인구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다.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향해가고 있다.
노령화지수(15세 미만 인구 10명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는 143.0으로 1년 전 132.5에 비해 10.5 뛰었다. 반면 유소년 인구(0~14세)는 608만7000명으로 전체 인구 중 11.8%에 불과했다. 유소년 인구 비중은 2000년(21%)부터 매년 줄고 있다.
전체 229개 시·군·구 중에서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시·군·구는 경북 군위, 경북 의성, 경남 합천군, 경북 청도군, 경북 청송군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가장 낮은 시·군·구는 세종시, 경기 화성시, 울산 북구, 부산 강서구, 광주 광산구 등이었다.
한편 1인 가구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인 가구는 총 717만 가구로 1년 전보다 7.9% 늘었다. 1인 가구가 700만명을 넘은 건 1인 가구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75년 이후 처음이다. 전체 가구 중 33.4%가 1인 가구로, 1년 전 31.7%에서 더 뛰었다. 열 가구 중 세 가구는 1인 가구인 셈이다.
이밖에 친구·애인 등이 함께 거주하는 비(非)친족가구도 47만3000가구로 1년 전보다 11.6% 증가했다. 가구 수로는 198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다문화가구는 38만5000가구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 퍼붓는 대우조선… 産銀의 낙하산 인사가 부른 ‘무능 경영’ (0) | 2022.07.29 |
---|---|
세계최초! 탄도미사일 탑재 구축함! 정조대왕함 진수식 현장취재 (0) | 2022.07.28 |
이번 기회에 경찰대학을 반드시 폐교시켜야 (0) | 2022.07.28 |
헌법질서의 파괴자 김경수의 사면을 반대한다자유민주주의 체제의 근간인 선거제도를 훼손하고도 일말의 반성을 모르는 자에게 사면은 가당치 않은 조치다. (0) | 2022.07.28 |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 한 시민이 등기로 보낸 서신...(오일팔 문제 등에 관한 것 ...국민 필독 )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