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차점에 이르러서는 옆 사람의 충고를
무시해야... | |
|
|
운전을 할 줄 아는 사람이 차에 함께 탈 경우에는 대체로 출발이 빠르다느니, 늦다느니, 기어변속이 어떻다느니
하면서 말이 많은 법. 이것은 자기의 운전습관과 같지 않은데서 오는 충고나 의견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충고도 교차점에 이르러서는
무시하는 것이 좋다. 갑자기 운전습관을 바꾸다보면 복잡한 교차로에서는 오히려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 |
|
|
교차로를 통과할
때는... | |
|
|
교통사고 유형을 분석해 보면 교차로에서 발생되는 사고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교차로에 이르는
대부분의 자동차들이「 정지신호는 늦게, 출발신호는 빠르게」반응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적색신호로 바뀌어도 짐짓 속도를 더 내어 교차로를
빠져나가거나 반대로 출발 예비신호인 황색신호가 켜지면 쏜살같이 빠져나간다. 그러나 급출발은 사고로 연결되기 쉽고 연료소비의 증가와 함께 차량에는
많은 무리가 따르게 된다. 교차로 직전에서는 천천히 신호를 확인하고 출발하는 여유와 먼저 양보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 |
|
|
신호대기 때
브레이크를... | |
|
|
건널목이나 교차로에서 신호대기로 멈춰있을 때는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것이 바람직 하다. 만약 뒤에서 오는
차가 과속이나 부주의로 내 차를 추돌하더라도 브레이크를 밟고 있으면 차체에 미치는 충격이나 탑승자에 대한 충격이 훨씬 감소되어 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핸드브레이크보다는 풋브레이크가 더 강력하며 이때 제동등에 불이 들어와 후속차에게 정지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또 건널목이나 교차로의 신호대기 중 가장 끝에 붙어서 브레이크를 밟고 있을 때는 반드시 룸미러를 눈여겨 보는 것이 좋다. 혹시라도
후속차의 주행속도가 너무 빨라 위험을 느낄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두세번 밟아줌으로써 제동등의 점멸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
|
앞차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은 절대금기로
삼아야... | |
|
|
시가지에서 교통이 지체되어 느릿느릿 진행하다 보면 약간의 방심으로 추돌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이는 앞차가
흐름에 따라 진행할 것이라고 생각한 채 맹목적으로 막연히 뒤를 따른 결과이다. 지체되어 느릿느릿 진행하고 있을 때일수록 흐름이 언제쯤
정지할 것인지 예측할 수 없으므로 「속도가 낮기 때문에」하고 방심한 채 막연하게 뒤따르지 말아야
한다. | |
|
|
이륜차에 주의하자! | |
|
|
오토바이나 자전거와 나란히 달리는 운전방법은 가급적 삼가는 것이 좋다. 이륜차의 경우 노면상태가
불량하거나 돌발사태를 만나게 되면 핸들이 쉽게 꺽이게 되고 차체가 좌우로 크게 흔들려 진행방향에서 이탈하거나 도로에 쓰러질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이륜차와 나란히 우회전을 하게 될 때에는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은 물론, 가급적 함께 진행하지 않도록 앞세워 보내든가
피하는게 좋다. | |
|
|
정지차량 옆을 통과할 때 | |
|
|
정지차량 옆을 통과할 때는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도로 우측에 서 있는 차를 주의하지 않고 그대로 진행하다가 정지해
있던 차가 왼쪽으로 진입하여 출발한다면 사고를 피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가능하면 정지차량으로부터 조금 떨어져 지나가는 것이 좋다.
이런 경우는 도심지 주행에서 정차 후 출발하는 버스나 택시 등을 만날 때 많이 겪게 된다. 정지차량의 앞바퀴가 이미 왼쪽으로
꺾여져 있다면 내 차로를 침범하는 상황에 대비하여 감속을 하고 그대로 통과할 상황이라면 경적을 가볍게 울려준다든지 하이빔(상향등)을 사용하여
통과의사를 확실하게 전할 필요가 있다. 만일 정지차량이 내가 진행하고 있는 차로로 반쯤 들어섰을 때는 무리하게 차로를 바꿔서 앞지르기를
하기보다는 일단 감속을 하여 양보하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왕복 2차로의 이면 도로에서는 버스 앞으로 불쑥 튀어나오는 보행자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앞지르기보다는 정지후에 출발하는게
좋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