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chosun.com/jangshim44/4276322 ![]() | ||
박정희 전 대통령의 서거 30주기를 맞았다. 아직도 엇갈리고 있다. 인권 탄압과 관치경제, 권위주의 유산이 후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지적한다. 않고 있다. 박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인 1980년 5·17 비상계엄 확대로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는 이전 정권과의 차별화를 위해 박 전 대통령의 경제개발 업적을 치켜세우지 않았다. 신군부의 권위주의 정권 시절 박 전 대통령의 독재정치가 부각되기도 했다.
1990년대에 박 전 대통령은 군부독재 또는 권위주의 정권의 시발점이자 12·12쿠데타와 5·18민주화 운동 무력진압을 배태한 원흉으로 간주됐다. 급속한 경제개발정책과 산업화가 조명을 받기 시작했고 강력한 지도자를 그리워하는 ‘박정희 향수’ 도 확산됐다. 개발독재를 민주화와 산업화를 위한 ‘징검다리’ 내지는 ‘필요악’으로 바라보자는 담론도 나오기 시작했다. 됐다. 범적 대통령이 아니라 미래의 장작까지 미리 사용해 밥을 해놓고 생색낸 대통령이라고 평가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에 일본군 중위를 지낸 박 전 대통령이 포함되면서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했다. 좌파 진영의 대표적 원로학자인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는 2005년 계간 ‘창작과 비평’에 ‘ 박정희 시대를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라는 글을 싣고 박정희 재평가를 부채질했다. 었던 게 사실”이라며 “한국 경제가 박정희 시대에 이룩한 괄목할 만한 성과에 대해, 그리고 전제 적이며 포악했지만 유능하고 그 나름으로 헌신적이었던 ‘주식회사 한국’의 최고경영자(CEO) 박정희에 대해 충분히 인정을 안 해준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활발해지고 있다.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동아시아협력센터와 호주국립대 한국학연구원은 19, 20일 ‘박정희와 그의 유산-30년 후의 재검토’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좌·우파 학자들이 이념대립적인 시선에서 벗어나 보편적인 시각으로 박 전 대통령을 평가해야 한다는 목소리 가 나왔으며 내년 말 그 결과를 영문판으로 발간할 예정이다. 응답자(1500명) 중 72.8%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 아직 때가 아니다’는 16.8%, ‘잘 모르겠다’는 10.4%에 불과했다. |
'Current 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론] 30년 전 박정희가 남긴 유산 (0) | 2009.10.26 |
---|---|
"박정희 대통령, 개헌 뒤 하야하려 했다" (0) | 2009.10.26 |
세계가 박정희를 평가한다 (0) | 2009.10.26 |
민둥산인 북한의산 (0) | 2009.10.24 |
[긴급뉴스] 중국 해킹메일입니다 (0) | 2009.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