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문제가 與與의(한나라당內, 親李-親朴) 갈등과 분열위기에 놓이면서 親李든 親朴이든 일각에서는 각자의 의견들이 다소 뭔가?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신들 쪽으로만 편중되었던 親李-親朴계간의 반응들이 조금씩 엇갈리면서 서로 극단적인 상황을 피해보자는 생각들이라 본다. 親李나 親朴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떠나서 왜 원안을 주장하는지, 왜 수정을 통해서 세종시를 개발하려하는지, 서로의 입장차를 좁히고자하는 취지라 생각한다.
자신들 모두가 한곳에만 집중을(친이, 친박 계파간 다툼) 두다보니 일이 점점 확산되는 것을 막아보자는 취지이면서, 이렇게 점점 계파갈등과 분열사태를 자극하다가는 먼 일이 일어날 것같은 분위기를 파악했다는 것이다.
결국 계파간의 갈등이 심각해지면 결국은 분당이라는 극한 상황까지 전개되는 것을 막아보자는 것으로 보인다.
親李 19% . 親朴 29% "절충안 찬성"
서울신문///세종시 수정안에 "일부 부처 이전"을 추가하는 여권 일각의 절충안이 국론 분열을 해소하는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 서울신문이 여야 국회의원 168명을 상대로 원포인트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긍정적인 답변은 13.1%에 그쳤다.
하지만 정당 간, 계파 간 반응은 시사점이 컸다. 한나라당내 친이계와 친박계, 민주당, 친박연대에서, 비록 소수이긴 하지만 모두 절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답변이 나왔다. 친박계가 친이 계보다 절충안에 더 우호적이었다. 특히 절충안을 선택한 의원들은 당내에서 상대적으로 계파색이 옅거나, 수도권과 영남 출신이 많았다.
정당간, 계파간 극한 충돌이 예상되는 향후 국회 논의 과정에서 이들의 소수 의견이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서울신문이 17일 여야 국회의원들을 상대로 ‘세종시에 3 ~5개 부처를 이전하는 절충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물은 결과 13.1%인 22명이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고 답했다. 절충안을 꼽은 22명 가운데 한나라당은 18명, 민주당은 3명, 친박연대는 1명이었다. 한나라당 내 계파별로 보면 친이계가 10명, 친박계가 8명이지만, 절충안 찬성률은 친박계(28.6%)가 친이계(19.2%)보다 9%포인트 이상 높았다.
또 정부 수정안을 지지한 34명 가운데 33명(40%)이 친이계 의원이고, 나머지 1명은 무소속이었다. 반면 원안 고수 89명 가운데 친이계는 한 명도 없었고, 친박계는 16명(19%)이었다.
야당 의원들은 대부분 9부2처2청을 이전하는 ‘원안’을 고수했다. 민주당 응답자 63명 가운데 56명이, 자유선진당은 응답자 8명이 모두 원안을 택했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에서도 응답자 4명과 1명이 원안을 꼽았다. 무소속은 6명 가운데 3명이 원안을 주장했다.
그러나 친 박연대의 경우 응답자 3명 가운데 1명만이 원안 고수에 동조해 눈길을 끌었다.
설문에서 원안을 꼽은 의원은 53.0%인 89명이고, 정부 수정안대로 해야 한다는 의견은 20.2%인 34명이었다. 23명은 ‘입장을 밝힐 수 없다.’거나 ‘국민 여론에 따르면 된다.’며 판단을 유보했다.
전체 응답자 168명 가운데 한나라당 의원은 83명이며, 이 중 친이가 52명, 친박이 28명, 중립 성향이 3명이었다. 민주당은 63명, 자유선진당 8명, 친박연대 3명, 민주노동당 4명, 진보신당 1명, 무소속 6명 등이었다. 한나라당 의원의 설문 응답률이 민주당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앞서 친박 중진인 홍사덕 의원은 ‘5~6개 부처 이전론’을 제안했고, 충청 지역 여론전에 나선 親李계 김용태 의원은 ‘3~4개 부처 이전 가능성’, 원희룡 의원은 ‘3개 부처 정도 이전’ 등을 언급했다.
'Current 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괴 급변시 한국군 개입의 법적 정당성/여영무 (0) | 2010.01.19 |
---|---|
박근혜 전 대표를 말한다!! 구국300정의군결사대. 이강성 (0) | 2010.01.19 |
강기갑 공중부양 무죄 논란 … 인터넷영상 통해 확산 (0) | 2010.01.18 |
부분일식 (2010년1월15일 오후4;40) (0) | 2010.01.16 |
아이티 지진 참사 시신들과 참혹한 현장 (0) | 2010.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