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rrent I

박근혜 전 대표가 왜 사과할 일인가?

http://blog.chosun.com/gksthfl119/4513788
 

박근혜 전 대표가 왜 사과할 일인가?  

 

-대박사랑

 

 

드디어 올 것이 왔다. 급기야 세종시 '원안 고수'와 '수정안' 문제로 현 권력과 미래 권력 주변에서 벌어지는 '말꼬리 물기'로 친이-친박간에 공방이 극한 막말 다툼이 벌어진 것이다. 같은 여당인데도 근본적인 토론과 대화는 실종되고 인신 공격성 발언이 흘러 나오는 등 그야말로 점입가경(漸入佳境)이 아닐 수 없다. 


한마디로 세종시 문제는 애시당초 건들이지 말았어야 했다. 이명박 정부가 제시한 세종시 수정안은 '국토 균형 발전과 수도권 과밀화 해소'라는 본래 취지와는 너무나 상이하다. 이명박 정부가 사전 조율도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행정부처 이주 백지화'를 정치권은 물론 국민들도 반대를 하고 있다.


이런 국민적 반대를 무시한체 선심성에 불과한 내용들로 가득찬 '수정안'을 밀어붙였다. 그러나 야당은 물론 같은 당 친박계도 이를 반대를 하면서 지금과 같은 정국 혼란이 가중되었다. 한마디로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를 추진하면서 집권여당인 한나라당 지도부와 친이 친박간 충분한 조율과 소통이 없었다는 점이다.


그러다보니 친이-친박계간에 논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정치란 찬반론이 공존하는 곳이다. 충분한 사전 조율도 없이 정부나 여당내 찬성론자들이 '무조건 따르라'라고 한다고 친박계 의원들이 따르겠는가. 이런 현실의 논쟁에 자잘못을 가리는 것이 부질없긴 하지만, 이런 논쟁의 책임은 우선 이명박 정부에 있다.


이번 세종시를 둘러싼 논쟁의 요인은 대통령의 발언에 있다. 대통령이 지난 9일 충북도 업무보고에서 <나는 솔직히 일 잘하는 사람을 밀고 싶고 지원하고 싶어진다>는 발언과 <가장 잘 되는 집안은 강도가 오면 싸우다가도 멈추고 강도를 물리치고 다시 싸운다>라는  애매모호한 발언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청와대는 이런 발언에 <누구를 겨냥한 발언이 아니었다>고 해명했지만, 언론 기자들이나 이 발언을 듣는 사람이 느끼는 의미는 다르다. <잘되는 집안은 강도가 오면 싸우다가도 멈추고 강도를 물리치고 다시 싸운다. 강도가 있는데도 너 죽고 나 죽자 하면 둘다 피해를 입는다>는 발언은 친이-친박 대립을 비유한 것 아닌가.


또한, <나는 일 잘하는 사람을 밀고 지원하고 싶다>는 것은 특정인을 향한 발언으로 오해할 수 있다. 그 누구라도 곡해하기에 충분한 대통령의 발언이 아닌가. 세종시 원안과 수정안을 놓고 찬반 논쟁이 되고 있는 시점에서 대통령이 충청도에서 말한 것이며, 박 전 대표와 친박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될 소지가 다분했다.


이런 이명박 대통령의 '강도론'에 대해 박 전 대표는 <집안에 있는 한 사람이 마음이 변해 갑자기 강도로 돌변한다면 어떻게 하느냐>고 반문했고, <일 잘하는 사람이 누구인지는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당연히 <일 잘하는 사람을 밀고 싶다>는 발언은 그누가 들어도 '후계구도'에 대한 언급으로 보인다. 


'잘되는 집안에 강도...'라는 비유가 청와대 설명대로 자주 사용하는 말이라고는 하나, 세종시 수정안 발표 뒤 대통령이 처음 충북을 방문한 자리에서 나온 발언이니 그 누가 들어봐도 '수정반대자'에 대한 비유라 판단된다. <너 죽고 나 죽자 하면 둘다 피해를 입는다>는 뜻도 '친이-친박'을 비유한 것으로 들린다.


그래서 '말이란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구나 국가 최고의 지도자 입장에서는 더 신중을 기했어야 할 발언이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후 국가 정책을 매번 '나를 따르라'식으로 독선적으로 추진하고 있지 않은가. 단 한번도 야당은 물론 여당내 조차 사전 조율과 대화를 통해 추진한 적이 있는가 되돌아 보라.


애초 이런 논쟁의 발단은 이명박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무리하게 밀어붙인 데 그 원인이 있다. 단 한번도 세종시 수정 반대론자들을 설득하려는 노력을 해본적도 없이 반대론자들의 소리를 묵살하고 일방적 홍보만 있었을 뿐이다. 당 안에서도 박 전 대표와 친박계들과 세종시 현안을 놓고 직접 대화한 적이 있는가.


지난 모든 논쟁의 원인은 친이측에 있다. 앞서 박 전 대표의 발언은 <잘 되는 집안은 강도가 오면 싸우다가도 멈추고 강도를 물리친다>는 대통령의 발언에 <집안 사람이 강도로 돌변하면 어떻게 하느냐>고 원론적인 발언에 불과하다. 이런 발언에 말꼬리를 잡고 날뛰는 '충성 경쟁'은 그만 끝내야 할 일이다.


이를 악용해 청와대가 나서서 박 전 대표의 사과를 요구한 것은 또 다시 '박근혜 죽이기'를 벌리겠다는 의도로 보여진다. 이번 논쟁을 볼때 박근혜 전 대표가 사과할 이유가 없다. 이 대통령의 발언을 자극적으로 해석해 전달한 쪽이나 애써 박 전 대표에 대해 감정적 대응하려는 청와대 관계자 모두 마찬가지다.


한마디로 논쟁만 무수하고 실속이 없는 말싸움만 있다. 비단 세종시 문제만 국한된 것이 아니기에 걱정이 앞선다. 국정 전반에 걸쳐 매건마다 충돌이 지속되고 있는 현실이 아닌가. 결국 정국 불안을 조장하고 있는 곳은 바로 이명박 정부와 여권내 친이계, 권력의 추종자들이 스스로 만들어 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강도론' 논란은 그만 종식하기 바란다. 그 누가 '잘했다 못했다'를 따지기 전에 그 원인을 제공한측이 입을 다물어야 할 것이다. 이동관 홍보수석의 안하무인격 '사과 발언'은 잘못된 것이며, 또한 친이계측도 장마철에 개구리 널뛰듯한 막가파식 발언이 더 이상 나와서는 안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