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월 대보름 풍속과 음식
정월 대보름하면 둥근달과 찰밥~
정월의 절일로는 설과 대보름이 있습니다
태고에는 대보름을 설처럼 여기기도 합니다
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개인의 복과 집단의 이익을 기원하는
다양한 의식과 놀이를 행하였습니다
대보름에는 온 집안에 등불을 켜 놓고
밤을 세운다는 풍속의 기록도 있습니다
정월은 사람과 신,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이 하나로 화합하여 한 해의 일을
계획하는 시기로써 음력 1월 15일은
대보름 또는 상원(上元)이라고도 하며,
음력 1월 14일은 작은 보름으로 불립니다.
우리 선조들은 정월대보름날 아침에
밤, 호두, 은행, 잣, 땅콩 등의 견과류를 깨물면서
한 해 동안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부럼깨기를 하였으며,
저녁에는 보름달을 보며
한해의 소원을 빌면서 쥐불놀이, 연띄우기, 윷놀이,
다리밟기, 줄다리기 등 민속놀이를 즐겼습니다.
달맞이 행사와 아울러 풍속 및
음식의 내용과 의미를 되새겨 봅니다.
달맞이
달이 가장 먼저 뜨는 곳에 가서 달맞이를 합니다
달빛이 붉으면 가물고 달빛이 희면
장마가 있을 징조라고 하며
북쪽으로 치우치면 들과 산에
남쪽으로 치우치면
바닷가에 풍년이 든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달의 사방이 두꺼우면 풍년이 들 징조이고
달의 사방이 얇으면 흉년이 든다고 생각했습니다
쥐불놀이
대보름날 밤에는
논과 밭둑에 불을 놓는 세시풍속입니다
이 풍속은 잡초를 태워서 쥐를 없애고
해충의 알을 죽여서 풍작을 기원하고
봄에 새싹이 날 때 거름이 되도록 하는 놀이이지요
어릴적엔 보름 며칠 전부터
불 깡통을 돌리기 위해
녹슬지 않은 통조림 깡통을 준비해
깡통의 옆에 못구멍을 내고
긴 철사줄로 손 줄잡이를 만들고
보름날 불놀이 깡통을 돌렸던
어린시절이 생각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