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남북장관급회담에 참가한 이재정 통일부장관이 평양에서 북측 대표들과 건배하고 있다. | |
제 8차 남북적십자 회담에서 한국이 국군포로 납북자 문제 해결은 고사하고 국군포로 납북자 용어도 쓰지 못하며 수백억원 규모의 평양 적십자병원 지원에 합의, 북한에 퍼주고 왔다는 비난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그에 더해 통일부는 13일 대북지원 민간단체에 117억원을 지원하고 150억 9000만원의 남북협력기금을 쓰겠다고 밝히면서 파문이 번지고 있다.
이재정 통일부장관은 13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에 출석, 적십자회담 결과를 보고하면서 "국군포로, 납북자라는 말을 쓰지 않고 '전쟁 시기와 그 이후 소식을 알 수 없게 된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이에 야당 의원들의 분노, 특히 김용갑 의원이 진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가운데 송영선 한나라당 의원은 13일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만능주의에 빠져 회담자체만을 추진했을 뿐, 무엇을 의제로, 왜 이시기에 남북정상회담이 꼭 필요한가를 국민들에게 설명한바 없"면서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한다면 조속히 분명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바로 국군포로와 피랍국민(납북자)문제"라고 비꼬았다.
송 의원은 "제8차 남북적십자회담에서 북한은 국군포로와 피랍국민의 존재자체를 부정하며 한술 더 떠 우리 언론에서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조차 문제를 삼아 대표단의 입을 막아버렸다"며 "불과 한달 전 이산가족문제와는 별도로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를 북한과 협의, 전향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큰소리 쳤던 정부의 호언장담이 무색하게 됐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그는 △ 국군포로와 피랍국민의 실체부터 북한이 인정토록 강력히 요구, △ 이제껏 사용해온 납북자라는 용어도 보다 전향적으로 개선해 ‘피랍국민’이라는 적극적인 용어로 변경 사용해야 한다.
또 △ 이들 문제의 해결을 피상적인 상봉수준을 목표로 해서는 안되고 △ 생사확인이 최우선적 과제이며 궁극적으로 이들의 신변과 최소한 유해라도 완전한 귀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이재정 장관은 퍼주기도 모자라 이제는 남북 간 정기항로를 개설할 만하다고 말하며 빠른시일내에 항공편을 이용한 길을 마련해 갈 것이라고 말해 국군포로-납북자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ㅁ www.usinsideworld.com - 취재부
2007년 04월14일 09:57분 57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