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인물,문물

(16080)
국가(國家)는 어떻게 망(亡)하는가? 국가(國家)는 어떻게 망(亡)하는가? 日本의 自殺이란 논문의 교훈을 새겨들어야 한다 1975년 日本 월간지 문예춘추(文藝春秋)에 한 편의 논문이 실렸다. 일본의 자살(自殺)이란 의미심장한 제목 아래 일군(一群)의 지식인 그룹이 공동 집필한 문건이다 필자들은 동서고금 제(諸)문명을 분석한 결과 모든 국가 가 외부의 적이 아닌 내부 요인때문에 스스로 붕괴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 들이 찾아낸 국가 자살의 공통적 요인은 이기주의와 포퓰리즘(대중 영합)이었다. 국민들이 작은 이익만 추종 하고 지배 엘리트가 대중과 영합할 때 국가는 쇠망한다는 것이다. 수 십 년간 잊혀 졌던 이 논문은 몇 년 전 아사히 신문이 인용하면서 다시 유명해졌다. 논문은 로마제국 쇠락의 원인을 빵과 서커스로 요약했다. 로마가 번영을 구가하..
전두환 대통력치적 전두환 대통력치적 치안유지 .철통안보 물가안정 경제성장 세계최고 좌파척결 성범죄 무 인사정책최고 적재적소에 최고 능력자기용 올림픽유치 대통령직선제 실현 경제 민주화 위대한 박정희대통령 계승 경제발전
歷代 대통령중 최고의 유머감각은 전두환 歷代 대통령중 최고의 유머감각은 전두환 조갑제닷컴 ●『(백담사로) 쫓아낸 사람 미워하는 마음에 6개월간 이를 갈았더니 내외 모두 이빨이 못 쓰게 됐어요』 (1999년 2월 초 일본 방문 때 明月寺에서 신도들을 앉혀 놓고) ●『두 분이 다 대머리이신데 나와 셋이 나가면 주변이 환해질 겁니다. 야간경기 때 우리가 나가면 선수들이 행복해 하겠어요』 (1986년 9월 국제 스포츠 요인들과의 청와대 만찬에서) ●『崔鍾賢 회장, 이쪽은 「할렐루야」 팀이래요. 어때요, 「나무아비타불」 팀을 한 번 만들어서 같은 崔씨끼리 잘 해 보시는게』 (1980년 말 프로축구를 출범시키고 싶다는 崔淳永 당시 대한축구협회 회장의 건의를 듣고) ●『지도자의 요건으로 마지막 욕심을 부린다면 인간적 魅力이다. 만나서 얘기를 해보면 맛이 ..
대한민국 을 세계 10대 강국으로 만든 주역. 대한민국을 세계 10대 강국으로 만든 주역. 1. 이승만 2. 박정희 3. 박태준 4. 정주영 5. 이병철 6. 김우중 ■ 대한민국을 망하게한자. 1. 노태우/김영삼 2. 김대중 3. 노무현 4. 박지원/박원순 5. 김무성/유승민 6. 문재인 ■ 국가를 병들게한 단체. 1. 전대협 2. 전교조 3. 민주노총 4. 시민단체 5. 경실련 6. 환경단체 7. 대깨문 8. 노사모 9. 언론노조 대한민국은 5년후 아시아 최빈국으로 침몰할것이 두렵다 이렇게 만든것은 사리사욕에 눈먼 정치하는 놈들이다. 이 썩을 엽전들아 알기나하나? 한심하기 짝이없는 국민들아? [정홍원 전총리의 대국민 호소문] 온 국민이 꼭 들어야 할 내용입니다. 위기에 처한 국민의힘 선대위원장으로 공정한 선거관리를 약속했습니다. https://m...
[명 기도문] 맥아더 장군 - 자녀를 위한 기도 (한국어, 영어) [명 기도문] 맥아더 장군 - 자녀를 위한 기도 (한국어, 영어) - https://followjesus.tistory.com/m/198
임진왜란 총정리 몰아보기 1부~9부
[인보길 칼럼] 이 가을, 이승만이 창조한 우리 현대사 이야기 [인보길 칼럼] 이 가을, 이승만이 창조한 우리 현대사 이야기 | Save Internet 뉴데일리 -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1/09/28/2021092800191.html
< 미국인 Homer Hulbert > - 잊지 맙시다 - 잊지 맙시다 중국어나 일본어를 대하다 보면 불편할 때가 많다 중국어와 일본어는 띄어쓰기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 글도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할 당시에는 중국어와 일본어 처럼 띄어쓰기가 없었다. 나랏말싸미중국에달아문자와 서르사맛디아니할세이런전차로 어린백성이~~~~ 이렇게 시작되는 훈민정음 서문 부터 띄어쓰기가 없는 글이였다 띄어쓰기가 없는 글을 잘못 읽으면 아버지 가방에 들어 가신다 라는 어처구니 없는 글이 되고 만다 띄어쓰기 없는 한글의 불편을 맨처음 지적하고 띄어쓰기를 사용하도록 啓導(계도)해 준 사람은 미국인 호머 헐버트(1863-1949) 박사였다. 헐버트 박사가 띄어쓰기를 계도해 주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아직도 중국어나 일본어처럼 띄어쓰기가 없는 불편한 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