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인물,문물

(16080)
■?수난의 역사가 - 오늘날에도 계속돼야 하나? ■?수난의 역사가 - 오늘날에도 계속돼야 하나? 지난 500년간 우리 역사상 가장 불행했던 이들은 누구였을까? 아마도 1580년 쯤 태어나 1640년을 넘기며 살았던 사람들일 것이다. 이들은 10대에 임진왜란을, 40대에 정묘호란을, 50대에 병자호란을 맞았다. 기록에 남아있는 당시 참상은 상상을 초월한다. 류성룡은 징비록에 '굶주림이 만연하고 역병까지 겹쳐 대부분 죽고 백 명에 한 명꼴로 살아남았다. 부모 자식과 부부가 서로 잡아먹을 지경에 이르러 죽은 사람의 뼈가 잡초처럼 드러나 있었다'고 임진왜란의 참상을 기록했다.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도 마찬가지이다. 인조실록에 보면, 후금군이 철수하면서 백성을 어육으로 만들고 수 만명을 잡아가서 노예로 팔았다고 한다. 그 다음으로 살기 어려웠던 시기는 아마도 ..
박정희 앨범①/울음바다로 연설중단...”우리 생전엔 못 이루더라도”
(★박정희 대통령은 세계에서 가장빈곤했던) (★박정희 대통령은 세계에서 가장빈곤했던) 대한민국을 세계10대 강국으로 만들었다 세계인이 부러워했던 새마을운동 산림녹 화 포항제철 경부고속도로등이루말할수없 는 기적을. 이루었다 나 박찬중도 농민운동권 출신일때 좌파놈들의 습성을 잘 알고있다 대구사범 박정희대통령동창인 김병희 학장님의 글을 올려본다 (최고)박정희! "그 차가 아버지 차냐?"(야호) 이 글은 박정희 대통령의 대구사범 동기인 김병희 전 인하공대 학장의 회고록에서 전재한 것이다. 의장실에 무상출입 하게 된 나는 30년 지기였건만, 인간 박 정희의 새로운 편모(片貌)를 보게 되었다. 내가 의장실에 처음으로 들어섰을 때의 첫 인상은 그 방이 어쩌면 그렇게도 초라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장식물이라고는 하나도 없고 특별한 기물도 없었다. 마치 야..
[인보길 칼럼] 이 가을, 이승만이 창조한 우리 현대사 이야기 [인보길 칼럼] 이 가을, 이승만이 창조한 우리 현대사 이야기 9.28 서울수복과 10.1 국군의 날 & 한미동맹 칼럼 추천뉴스 대장동 개발사업언론중재법 논란뉴데일리 여론조사건국대통령 이승만 6 인보길 기자 입력 2021-09-28 17:21 | 수정 2021-09-29 16:04 ▲ 1950.9.28 서울 탈환때,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해병대 용사들. 이 사진은 뒷날 행사때 것.ⓒ뉴데일리DB “우리 국군이 먼저 중앙청에 태극기를 꽂아야 한다.” 이승만 대통령이 은밀히 명령을 내렸다. 우리 해병이 미해병과 연합작전으로 서울 시내를 절반쯤 탈환중이었을 때다.. 인천상류작전에 이은 서울 수복 전투에서 미해병1사단은 주요건물을 점령할 때마다 미국 성조기를 게양하는 것이었다. 국군은 그러잖아도 마음이 불편..
외국의 영웅은 위인, 대한민국 영웅은 양아치 외국의 영웅은 위인, 대한민국 영웅은 양아치 http://www.systemclub.co.kr/bbs/board.php?bo_table=12&wr_id=19935 북한을 등에 업은 5.18역적들이 폭력으로 한국 지배 http://www.systemclub.co.kr/bbs/board.php?bo_table=12&wr_id=19936
?세상에서 가장 자애로운 얼굴은? ?세상에서 가장 자애로운 얼굴은? 미국 뉴욕항으로 들어오는 허드슨강 입구의 리버티섬(Liberty lsland)에 세워진 미국을 상징하는 자유의 여신상의 정식 명칭은 '세계를 비추는 자유(Liberty Enlightening the World)'이지만 통상 '자유의 여신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銅)으로 만든 여신상의 무게는 225t이며 횃불까지의 높이는 46m, 받침대 높이는 47.5m이지만 지면(地面)에서 횃불까지의 높이는 93.5m에 이르고 집게 손가락 하나가 2.44m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로 198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발밑에는 노예해방을 뜻하는 부서진 족쇄가 놓여 있고 치켜든 오른손에는 '세계를 비추는 자유의 빛'을 상징하는 횃불을 왼손에는 '1776년 7월 4일'이라는 ..
간디가 손자에게 남긴 말<펌글>. 간디가 손자에게 남긴 말. - 사회를 병들게하는 7가지 악덕 - ♡ 21세기 사회가 직면한 일곱가지 도전 인도의 수도 뉴델리에, 간디의 화장터인 라즈가트라는 곳이 있다.그 곳 추모공원 기념석에는 간디가 말한 사회를 병들게 하는 일곱가지 惡德 (7 Blunders of the world)이 새겨져 있다. 간디가 손자 아룬 간디에게 남긴 글이다. 1. Politics without Principle. 철학 없는 정치다. 정치가 무엇인지도, 누구를 위한 것인지도 생각하지 않고 그저 권력욕, 정권욕에 사로 잡혀 통치한다면 국민은 불행하다. 2. Commerce without Morality. 도덕 없는 경제다. 경제는 모두가 다함께 잘 살자는 가치가 깔려 있어야 한다.거래를 통해 손해를 보아 피눈물 나는 사람들..
카이스트를 탄생시킨 박정희 대통령 카이스트를 탄생시킨 박정희 대통령 댓글수0 메뉴 더보기 공유 신고 다음블로그 이동 카이스트를 탄생시킨 박정희 대통령 창산 2021. 9. 8. 15:19 댓글수0 카이스트를 탄생시킨 박정희 대통령 "최형섭 원장" 미국을 돌며 젊은 과학자들에게 “조국을 살려달라” 호소 연구 인력을 모으는 것도 한 편의 드라마였다. 초대 원장 최형섭은 미국을 돌며 한인 과학자들에게 호소했다. 그는 돈이 없어 허름한 숙소에 묵으며 조국의 젊은 과학자들의 손을 붙들고 호소했다. “가난한 조국은 당신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런 정성이 통했음인지 첫해인 1966년 18명이 귀국한 후 1990년까지 영구 귀국한 과학자가 1,000명을 넘는다. 귀국 과학자들은 당시 국립대 교수 연봉의 3배를 받았지만, 그것도 미국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