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인물,문물

(16080)
암행 어사 박문수 8 대 후손이 박정희이다...수정
정경심 징계 없이 면직 처리…‘연금 수령·재취업 기회’ 유지
/// 아프가니스탄과 탈레반 히스토리 요약 /// /// 아프가니스탄과 탈레반 히스토리 요약 /// 1. 아프가니스탄은 인도양 진출의 부동항을 원하던 소련의 대양 진출로에 위치함. ​ 2. 소련은 대양으로 가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아프카디스탄을 군사적으로 지원함. 3. 아프가니스탄 군부는 소련에서 군사교육을 받고 돌아온 후, 1978년 쿠데타를 일으켜 공산정권을 수립 함 ​ 4. 아프가니스탄 인민들은 이슬람 수니파가 주류 였기에, 무종교인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군부의 집권에 반감을 가지게 됨. ​ 5. 이슬람 수니파 부족집단을 중심으로 공산정권에 저항하는 내전이 시작되었고, 이들 반군 게릴라들을 무자헤딘이라 부르게 됨. ​ 6. 1979년 3월. 아프가니스탄 정부 주력군 17사단이 반군으로 이탈합류 함 7. 17사단에 와 있던 소련 군사고문단, 간호사,..
아련한 세월 어제 같은 그시절 1960년대 한국의 모습들 1960's at that time Korea
그땐 그랬지 1945년 이땅에 살던 사람들의 모습들 The scene of Korean life in 1945
<박찬주대장이 던지는 섬뜩한 경고> 미국과 탈레반간의 평화협정이 체결된 이후 바이든 행정부는 올해 9월11일을 목표로 미군철수를 진행중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상밖으로 아프간 정부군이 무너지면서 탈레반이 카불로 진격해 오자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은 정권을 탈레반에게 넘겨주고 황급히 국외로 탈출했습니다. 가니 대통령의 명분은 "더 이상의 피해와 희생을 방지하고 아프간의 평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것입니다. 알려진 바로는 가니 대통령은 카불을 떠나면서 군지휘관들을 불러 교전금지 명령을 내린 후 가족, 측근들과 함께 아프간을 떠났다고 합니다. 이 소식을 접하고 저는 순간적인 섬뜩함을 느꼈습니다. 그 남다른 이유를 지금부터 소개하겠습니다. 남북군사합의가 체결된 이후 저는 현역 후배장성들에게 늘 이러한 조언을 했었 습니다. 그 요지는 다음과 같습..
한국과 미국 한국과 미국 이 글은 서울商大 同窓會 카톡방에 올라온 글입니다. 한국과 미국이 어떤 전략으로 미래를 경영해야 하는지 명쾌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거의 論文 수준의 긴 자료(A4-20p)지만 끝까지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한국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한마디로 한국의 운명은 한국인에게 달려있지 않다. 한국의 운명은 전적으로 미국의 판단에 달려있다. 단, 한국의 미래를 어떻게 가꾸어 나가야 하는가는 한국인 개개인의 각성에 따라 좋은 방향 또는 나쁜 방향으로도 갈 수 있을 것이다. 세계의 패권국가는 미국이다. 그럼 미국이란 나라에게 대한민국이란 나라의 경제적 효용가치는 얼마나 될까? 경제는 물론 전쟁도 문화도 모든 것이 효용가치에 따라 그 값이 매겨진다. '한계효용균등의 법칙'에 따르면 미국이 한국을 버리고, 나..
[김규나의 소설 같은 세상] [126] 아프간 같지 않기를 [김규나의 소설 같은 세상] [126] 아프간 같지 않기를 김규나 소설가 입력 2021.08.25 03:00 김규나 소설같은 세상/ 할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 탈레반은 큰 집을 찾고 있었다더구나. 그들은 하산에게 집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 자기들이 들어와 살겠다고 했대. 하산이 다시 항의를 했지. 그랬더니 거리로 끌고 가서 무릎을 꿇으라고 명령하고는 뒤통수를 쏴 죽였다는구나. 하산의 아내 파르자나가 비명을 지르며 달려들자, 그녀도 쏴 죽였단다. 그자들은 그게 정당방위라고 했단다. - 할레드 호세이니 ‘연을 쫓는 아이’ 중에서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이 철수했다. 대통령은 돈 보따리를 싸들고 일찌감치 도망갔고, 국민은 각자도생해보겠다며 공항으로 달려가 이륙하는 비행기에 매달렸다. 권력을 장악한 탈레..